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과 차이의 사회학: 체계이론의 사회학적 이념과 사회적 체계의 자기계몽 (The Sociological Enlightenment of Niklas Luhmann and Sociology of Difference: A Sociological Idea of System Theory and Self-Enlightenment of Social System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0.11
50P 미리보기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과 차이의 사회학: 체계이론의 사회학적 이념과 사회적 체계의 자기계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이론 / 37호 / 39 ~ 88페이지
    · 저자명 : 김건우

    초록

    본 논고는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 soziologische Aufklärung을 해명하고자 한다. 사회학적 계몽은 사회의 역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적 질서를 해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학적 이념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루만의 사회학을 ‘차이의 사회학’으로 파악한다. 이 차이의 사회학은 철학적인 의미를 넘어서, 사회와 행위의 복잡성과 우연성을 사회적 체계의 작동을 통해 파악한다. 루만은 기능을 규제적인 의미도식으로 파악하면서 가능성들의 ‘과잉’을 생산하는 근대사회의 구조적인 측면, 즉 기능적 분화와 기능적 질서를 이론화한다. 이는 세계의 복잡성을 체계의 복잡성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 매체로 사회적 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학적 계몽은 계몽을 무한히 확장하는 ‘계몽유토피아’ Aufklärungsutopie 가 아니라 사회적 체계의 ‘자기계몽’ Selbstaufklärung 으로서 ‘계몽의 해명’ Abklärung der Aufklärung 이다. 이를 이론적으로 해명하기 위해서 복잡성과 차이의 사회학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학적 계몽을 사회적 차원에서의 계몽의 재생산으로 이론화한다. 더불어, 선택성 강화의 재귀적 메커니즘으로서 사회적 체계의 작동을 통해서 계몽은 ‘자기계몽’ Selbstaufklärung 이 된다. 사회의 역량을 사회적 체계를 통해 증가시키고자 하는 이런 시도는 잠재성의 기능을 사회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며, 사회적 체계가 행위의 사건화 능력과 부정잠재력을 어떻게 조건화할 수 있는지 이론화한다. 결국, 이는 ‘사회학의 사회학’이며, 사회의 확장을 사회학적 계몽을 통해서 이론화하는 작업이다. 사회학적 계몽의 담지자는 사회적 체계이며, 이 때 계몽은 자기와의 차이를 산출하면서 재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사회학적 계몽은 체계포비아로부터의 해방을 사회학적으로 기획하고, 계몽을 유지하고 지속하고자 하는 ‘계몽의 계몽’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elucidate Niklas Luhmann’s soziologische Aufklärung. Sociological Enlightenment is a sociological idea to explain functional orders, which multiply the potentialities of society. In order to grasp this constellation, this work presents Luhmann’s sociology as ‘Sociology of Difference’. Beyond the philosophical sense, this determination contends the complexity and contingency of society and action in society to be comprehended by operations of social systems. Luhmann conceptualizes function as a regulative meaning-schema, which makes it possible to theorize functional differentiations and functional orders, the structural level of modern society to produce the ‘surplus’ of possibilities. It is nothing less than to understand social systems to be medium having the potential to transform the complexity of world into the complexity of systems. In addition, Sociological Enlightenment is not Aufklärungsutopie (Enlightenment-Utopia) to extend without limit, but Selbstaufklärung (Self-Enlightenment) of social systems, that is Abklärung der Aufklärung (Elucidation of Enlightenment). For this theoretical purpose,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relation of complexity to ‘Sociology of Difference’ and to theorize Sociological Enlightenment as a reproduction of an enlightenment at the societal level. By this, enlightenment comes to be Selbstaufklärung (Self-Enlightenment) as reflexive medium to intensify selectivity through the operations of social systems. This attempt that increases the potentialities of society through social systems is to reconstruct the function of latency sociologically and to examine how the ability of action and its potential of negation could be conditioned by social systems. At last, it leads to ‘Sociology of Sociology’, which intends to extend society by Sociological Enlightenment. The bearers of Sociological Enlightenment are social systems and enlightenment is able to reproduce itself by producing a difference to self. For this reason, Sociological Enlightenment refers to a sociological emancipation from system‘phobia’ and could be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to preserve and continue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 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