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극서사의 전달매체로서의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의 작품들 -『죽은 병사』와 『비애의 마스크』를 중심으로- (Ernst Neizvestny’s Artworks as a Medium of Conveying Tragic Narrative - Focusing on ‘The Dead Soldier’ and ‘The Mask of Sorrow’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05
35P 미리보기
비극서사의 전달매체로서의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의 작품들 -『죽은 병사』와 『비애의 마스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73호 / 169 ~ 203페이지
    · 저자명 : 이훈석

    초록

    본 논문은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로 대표되는 소련 비공식 미술가들의 작품이 소련 공식 주류 미술계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들에서 이야기하지 않는 비극적 사건들과 그로 인한 사회적, 실존적 고통을 어떻게재현하는지, 그 재현이 사회 구성원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은 어떠하였는지, 그리고 그 고통의 문화적 재현이 사회구성원들에게 전달됨으로 인하여 앞으로의 현대 러시아 사회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에른스트 네이즈베스트니가 1950∼60년대 제작한 소형 조각 작품들에는 작가 자신이 이른 나이에 직접 경험하였던 전쟁의 상흔과 고통이 그대로 반영되어있다. 그러나 그러한 그의 작품들은 양식적인 면에서, 그리고 주제적인 면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원칙에서 크게 벗어나있었으며, 때문에 그의 작품들은 소련이 해체되기 전에는 그의 고국에서 전시될 수없었다. 소련 정권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네이즈베스트니는1990년부터 러시아에서의 활동을 재개할 수 있었으며, 스탈린 시기 국가기관의 폭력에 의한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비 제작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이 추모비 건립 계획은 90년대 러시아의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적 문제들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하였으며 일부는 네이즈베스트니가 사망할 때 까지 실현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네이즈베스트니의 작품들이 현대 러시아 사회에서 지닐수 있는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문화적 트라우마, 수행집단, 진보서사와 비극서사와 같은 문화사회학적 개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의 러시아 미술작품 연구는 작품이지닌 미술사적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해당 작품에 반영되어 있는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대 러시아 사회의 문화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rticle explores the stylistic features and themes of the artworks of a world-renowned Russian artist Ernst Neizvestny, especially his small statues made between the 1950s and the 1960s and public sculptures produced in the period of the 1990s-2010s in connection with the tragic incidents of Russian society in the mid-20th century. The main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not only to examine the process of reproducing social suffering, which was generated by the tragedies of the Russian society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like WWII and Stalin’s political terrorism, which were represented in Neizvestny’s artworks, but also to study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of the reproduced social suffering, which was conveyed to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its effect on the changes of contemporary Russian society.
    Small statues, created by Ernst Neizvestny in the 1950s-60s, directly reflect the scars and agonies of the war, which the artist experienced in his early ages. Nonetheless, his artworks were not permitted to be exhibited in his homeland of Russia until the collapse of the reign of the USSR because they went too far against the principle of socialist realism not only in terms of their styles but also their themes. Neizvestny had to flew from the USSR and seek asylum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of oppression from the authoritarian Soviet regime and could start to work in Russia again only after 1990. He made drafts of the monuments of the victims of state violence under Stalin, but the projects for establishing these monuments were confronted with lots of difficulties not only because of economic problems but also political issues. Part of the projects could not be realized until the death of the artist.
    Not only formalist analysis and iconological analysis, but also cultural sociological concepts, like cultural trauma, collective agent, progressive narrative and tragic narrative were actively used for defining the cultural and social values of the artworks in this article. The study of the Russian art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ociology not only makes us rediscover their value and meaning in art history but also can help us grasp the outlines for analyzing the cultural structure of contemporary Russian society, which is reflected in the art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