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Bhikkhunis in Thailand: Sangha, Society, and Situations(태국의 비구니: 승가, 사회, 상황)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7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22.08
75P 미리보기
Bhikkhunis in Thailand: Sangha, Society, and Situations(태국의 비구니: 승가, 사회, 상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행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마음연구 / 9권 / 125 ~ 199페이지
    · 저자명 : 카카낭 야바프라바스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ravada bhikkhunis (fully ordained Buddhist nuns) in Thailand, focusing on current situations. It first presents alternative forms of female renunciants and their social ambiguity, emphasizing the social values of ordination in saffron robes in Thai society. Traditionally, full ordination as bhikkhunis is not available to Thai women, and it is only in the 20th century that Thai women first attempted to wear the saffron robes. According to Bhikkhuni Dhammananda, Theravada bhikkhuni emergence in the country can be viewed as ‘three waves’. This paper portrays the ‘three waves’ of the occurrence,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urrent one. The first was in 1928, the second in 1971, and the third in 2001 and 2003, which led to the contemporary existence of bhikkhunis in Thailand with the ordination of Chatsumarn Kabilsingh as Samaneri and Bhikkhuni Dhamma-nanda.
    The paper then examines the bhikkhunis’ current situations including an overview of monasteries and monastics, their legal and social status, daily activities, arrangement of temporary ordination for the public, and other social projects. Currently, there are at least 285 bhikkhunis and novices in Thailand in every region of the country. Most receive their ordination in Sri Lanka. They tend to stay in their own monasteries, and some stay in temples or meditation centres. Examples of established monasteries are Songdhammakalyani Monastery, founded in 1960, and Nirodharam, established in 1995.
    Finally, the point is made that while the bhikkhunis are unlikely to gain legal status granted by the state, their social status is guaranteed by local followers. Also, among the various ways of reaching out to the laity, social media is vital.
    본 논문은 비구니 구족계가 소멸했던 태국 상좌부(테라와다)불교에서 여성 출가자들이 다시 비구니계를 수지하게 되는 과정을 현재 상황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먼저 태국 사회에서 오렌지(또는 사프란)색 승복이 갖는 사회적 가치를 강조한 후에 여성 출가자들이 선택하고 있는 대안적 형태의 수계와 그것이 지니는 사회적 모호성을 살펴보겠다. 전통적으로 태국 여성들은 비구니 구족계를 받을 수 없으며, 태국 여성들이 처음으로 오렌지색 승복을 입으려고 시도한 것은 20세기부터이다. 담마난다 비구니는 태국에 상좌부 비구니가 등장하기까지 ‘세 번의 물결’이 있었다고 말한다. 본 논문은 현재의 물결에 특히 주목하여, ‘세 번의 물결’이 일어났던 상황들을 살펴보았다. 1928년과 1971년에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물결이 있었고, 차츠마른 카빌(Chatsumarn Kabilsing)이 2001년에 사미니계 그리고 2003년에 구족계를 받아 담마난다 비구니가 되었을 때 그 세 번째 물결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현대의 비구니들이 존재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비구니의 법적 사회적 지위, 일상 활동, 대중을 위한 임시 수계 프로그램, 사회 프로젝트 등 여성 사원의 실태와 활동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서 비구니들의 현재 상황을 검토해 보겠다. 현재 태국 전역에 최소 285명의 비구니와 사미니가 존재한다. 이들 대부분은 스리랑카에서 계를 받았다. 스스로 건립한 사원에서 생활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부는 다른 사찰이나 명상 센터에서 살기도 한다. 큰 규모의 비구니 사원으로는 1960년에 건립된 송담마칼리야니 사원(Songdhammakalyani Monastery)과 1995년에 건립된 니로다람(Niro-dharam)이 있다.
    마지막으로, 비구니들은 국가가 허용하는 법적 지위를 얻을 가능성이 작지만, 그들의 사회적 지위는 지역 신도들에 의해서 보장된다는 점을 주장하겠다. 재가신도와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그중 소셜미디어는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밝히겠다.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마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