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적 장애 재현이 창출하는 공감과 연대-샤이니 무투(Shani Mootoo)의 장편소설 『밤에 피는 선인장 꽃』(Cereus Blooms ar Night)을 중심으로- (Empathy and Alliance Generated by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n Literature-Focusing on Shani Mootoo’ Cereus Blooms at Night-)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9.02
37P 미리보기
문학적 장애 재현이 창출하는 공감과 연대-샤이니 무투(Shani Mootoo)의 장편소설 『밤에 피는 선인장 꽃』(Cereus Blooms ar Nigh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72호 / 133 ~ 169페이지
    · 저자명 : 이선민, 우충완

    초록

    본 연구는 21세기 현대 영미 문학 속 장애 재현이 장애인 당사자의 생활체험과 같은 장애의 물질성을 간과하고 정치적 저항을 위시한 수사적상징성에 치우친 결과, 정작 중심이 되어야 할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담론이 주변화 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장애재현에 대한 심층 분석과 다양한 논의 및 성찰로 더욱 정교화 될 것이다.
    본고는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비체’(the abject)와 로즈메리 갈랜-톰슨(Rosemarie Garland-Thomson)의 ‘미스핏’(misfit) 이론을 바탕으로캐나다 작가 샤이니 무투(Shani Mootoo)의 장편 소설 『밤에 피는 선인장꽃』(Cereus Blooms at Night)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사회적으로 비체화된미스핏(misfit)의 공간에서 주인공 말라(Mala Ramchandin)가 정신장애를 입게 되는 과정과 미스핏(misfit)의 공간을 핏(fit)의 공간으로 변화시켜 가는과정이 중점적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핏(fit)과 미스핏(misfit)의 공간 변화에 따른 정신장애 인물의 다양한 생활 체험을 살펴봄으로써, 비체로서의 장애가 인간 간 상호 공감과 연대를 이끌어내 는 매개체로서 물질성을 가진다는 점을 드러내며 장애의 생성력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문학작품 속 장애 재현이 제기하는 다양한 쟁점의 핵심이 다름아닌 인간 본연의 취약성과 의존성에서 비롯된 불안과 두려움에 있다는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인간의 ‘약함’을 이해하는 과정의 한 통로인 장애재현의 문학적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해 논의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arts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n contemporary novels marginalizes the discourses on efforts for promoting a more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disability issues by focusing on rhetorical symbolism such as political resistance rather than the materiality of the disabled bodies and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disabled individuals. Thus,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the ethical issues at the core of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are ‘vulnerability’ and ‘dependence,’ which result in anxiety. This perspective will be supported by exploring the way Shani Mootoo’s novel Cereus Blooms at Night represents disability, based on Julia Kristeva’s theory of the abject and Rosemarie Garland- Thomson’s concept of the Misfit.
    Mootoo describes how her main character becomes a mentally disabled figure resulting from a change of space. Physical violence caused by a conflict between individual values and hegemony creates misfit space and transforms the main character into a mentally disabled abject figure. However, the mentally disabled character deconstructs the boundary between misfit and fit through ‘interactive empathy and bonding.’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e empathy and bonding for minority individuals by recognizing atavistic vulnerability and dependence. Through the analysis of Cereus Blooms at Night, this paper maintains that mental disabilities also have access to materiality as a medium for interactive empathy and bonding.
    As a result, this paper argues that the representation of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ontemporary novel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vulnerability’ and ‘dependence’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individ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