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4-35개월 말 늦은 아동의 새 단어 의미 연결 특성: 상호배타성 가정 활용을 중심으로 (Korean Late-Talkers’ Use of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on First versus Second Label Learning)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4.09
9P 미리보기
24-35개월 말 늦은 아동의 새 단어 의미 연결 특성: 상호배타성 가정 활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9권 / 3호 / 285 ~ 293페이지
    · 저자명 : 최일란, 황민아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 언어발달단계의 어휘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배타성 가정의 활용을 중심으로 말 늦은 아동의 새단어 의미 연결 특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24-35개월의 말 늦은 아동 14명과 일반아동 15명이었다. 실험 1에서는 검사자가말해주는 새로운 단어(예, 보가)를 듣고 친숙한 사물 사진과 낯선 사물 사진 중에서 하나를 고르게 하였고, 아동이 상호배타성 가정을따른(낯선 사물 선택) 반응빈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2에서는 검사자가 아동에게 친숙한 사물 사진을 보여주며 새로운 단어(예, 푸티)를그 사물의 이름이라고 알려준 뒤, 실험 1과 동일한 과제를 실시했을 때, 아동이 상호배타성 가정을 무시한(친숙한 사물 선택) 반응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 1에서 두 집단은 모두 상호배타성 가정을 활용하여 새 단어의 의미를 연결하였고, 두 집단 간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 일반아동은 상호배타성 가정을 무시하고 새 단어를 친숙한 사물의 두 번째 이름으로 연결하는 반면 말늦은 아동은 여전히 상호배타성 가정에 따라 새 단어의 의미를 낯선 사물과 연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나타난, 말 늦은 아동이 보이는 상호배타성 편향은 사물의 첫 번째 이름 학습에는 유용하나 하나의 사물에 연관되는 다양한 어휘의 습득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late-talkers’ use of the mutual exclusivityassumption as they inferred the meaning of a novel-word in two different conditions: whena novel word could be the first label of a non-familiar object and when a novel word wasthe second label of a familiar object. Methods: Fourteen Korean late-talkers age 24 to 35months and fifteen typically developing p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Experiment 1,the children were given photos of two objects, one familiar and the other non-familiar, andasked to choose the photo of a novel-word spoken by the examiner. In Experiment 2, theexaminer showed the children a photo of a familiar object and used a novel-word (ex, pooty)as its label. Then, the children were shown a photo of that familiar object and a photo of anon-familiar object, and asked to choose which photo corresponded with the novel-word.
    Results: In Experiment 1, both groups tended to choose non-familiar objects for the novel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frequency of choosing non-familiar objects. In Experiment 2, while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endedto map the novel words to the previously shown familiar objects (ignoring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the late-talkers tended to map the novel words to the non-familiar objects. Conclusion: The bias toward mutual exclusivity shown in late-talkers may be useful in learning the first label of an object, but it can restrict acquisition of the various vocabulary related to that o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