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HBsAg 돌연변이 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국내 주요 면역검사법의 변이 검출능 평가 및 임상적 의의 (Performance Evaluation of Immunoassay Detection of HBsAg Mutants and Their Clinical Significance in the High Risk Group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3.04
9P 미리보기
HBsAg 돌연변이 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국내 주요 면역검사법의 변이 검출능 평가 및 임상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 수록지 정보 : Laboratory Medicine Online / 3권 / 2호 / 88 ~ 96페이지
    · 저자명 : 최정인, 임지훈, 정윤성, 이선호, 박재선, 박능화, 신정우, 나양원, 남창우, 차영주, 김성률

    초록

    배경: B형간염바이러스(HBV) 감염 진단에는 B형간염표면항원(HBsAg)의 존재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간염백신, 간염치료제, 간이식 후 면역글로불린 사용 등으로 인하여HBsAg의 돌연변이종들이 점차 다양하게 증가하고 위음성 결과를초래한다는 보고들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주요 공급사들에서 이러한 돌연변이들을 더욱 잘 검출할 수 있도록 장비와 시약을 개발하여 소개하고 있으므로, 본 저자들은 돌연변이를 초래할 수 있는환자군들과 인위적으로 다양하게 제조한 유전자재조합 검체들을대상으로 주요 자동화 면역장비와 시약들을 이용하여 돌연변이군들에 대한 HBsAg 검출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Architecti2000sr analyzer (Abbott Laboratories, USA), Modularanalytics E170 system (Roche Diagnostics, Germany) 그리고ADVIA Centaur XP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USA)를사용하여 혈청검체은행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검체, 항바이러스제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B형간염 환자와 간이식 후 추적 관찰 중인환자의 검체 그리고 각 장비 회사가 제공한 재조합변이항원 검체들에 대한 HBsAg 정성검사와 정량검사 검출능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 혈청은행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검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받고 있는 만성B형 간염 환자들과 간이식 후 추적 관찰 중인 환자들의 검체들에서 3사간 불일치 결과를 보이는 검체는 없었다. 반면같은 제조사에서 제공한 재조합 검체들에서 변이항원 검출률이높았지만 다른 제조사에서 제공한 재조합 검체들에서는 검출률이 상대적으로 훨씬 더 낮았으며, 장비 별로도 불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동일한 돌연변이종이라도 저농도 검체와 고농도 검체의양성률을 비교해 보면 고농도 검체에서 양성률이 높았으며, 장비별로도 불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HBsAg 변이를 검출하지 못하면 HBV 진단을 놓칠 수 있다.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위의 세 장비의 경우 돌연변이 발생이 높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검출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 회사별로 제공한 자사 재조합 검체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양성률이 서로 상이하였다. 그러므로 재조합 검체들을 중심으로제품을 평가하면 안된다. 또한 변이종들에서 농도가 낮은 검체에서 검출률이 낮으므로 위음성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낮은 농도의 변이종을 보다 잘 검출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다양한 환자 검체들을 추가하여 HBsAg 변이의 면역검사법의 검출능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False negative results have been reported in the immunodetection of hepatitis B virus (HBV)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various mutants of the virus, causing most suppliers to try to develop superior reagents by using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3 newly developed reagents by major manufacturers by adopting automated methods with increas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the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of native and recombinant mutant antigens.
    Methods: We analyzed samples confirmed positive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high-risk samples from chronic hepatitis patients treated with antiviral agents, and samples from patients who had undergone liver transplantation and were treated with high-dose hepatitis B immunoglobulin (HBIG) by using reagents and systems newly developed by Abbott Laboratories (USA), Roche Diagnostics (Germany), and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USA). Recombinant sample panels from these manufacturers with low and high concentrations were also analyzed for comparing the 3 reagents.
    Results: There were no discrepant results among the various selected patient groups; however, for the recombinant mutant panels, all of the 3reagents showed highly positive detection rates for their corresponding mutant panels, but showed relatively discrepant mutant detection rates when cross-tested with the other mutant panels. Detection rates of the HBsAg mutant panels were higher at a higher concentration of the mutant samples, but were lower for the same mutant receptor sites at a lower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3 major detection methods seem to recognize the major native mutants commonly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However,in the case of recombinant mutants, we believe that our data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a reference standard for any reagent, because the results can only be validated for the reagents’ corresponding mutant panels; such results tend to be mutually exclusive, and the enough concentration of mutants was required to be adjusted for a comparative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Laboratory Medicine Onl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