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 시장과 새로운 취향의 형성 관계: 18세기 로코코 미술에 나타난 쉬느와즈리(Chinoiserie) 양식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Market and the Formation of Taste : On the Chinoiserie in Eighteenth-Century Rococo Ar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1.08
26P 미리보기
미술 시장과 새로운 취향의 형성 관계: 18세기 로코코 미술에 나타난 쉬느와즈리(Chinoiserie) 양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5권 / 155 ~ 180페이지
    · 저자명 : 신상철

    초록

    미술에 있어서 취향은 작가의 선택을 결정하는 요소이자 작품 양식을 특징짓는 근간으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취향은 양식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한 근거로 제시되었고 새로운 취향을 형성시키는 동인을 규명하는 문제가 미술사 연구의 주요한 주제로 다루어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로코코 미술에 등장하는 쉬느와즈리 양식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는 미술 시장과 취향의 연관성을 상호교류 속에서 고찰해 볼 수 있는 의미를 지녔다.
    쉬느와즈리는 중국에서 유입된 작은 오브제 혹은 중국풍의 문양이나 형태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장식물을 지칭하는 미술 용어이다. 18세기 미술 비평에서 사용된 쉬느와즈리 개념은 다중적인 의미를 지녔다. 동방 무역을 통해 유입된 동양 유물, 동양에 대한 이국적 취향 그리고 중국풍의 장식예술을 동시에 의미했던 용어가 쉬느와즈리였다. 그것은 쉬느와즈리가 유물 자체와 연관된 독특한 양식이었기 때문이며 바로 이점이 이 양식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미술 시장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는 이유이다. 17-18세기에 걸쳐 쉬느와즈리 양식의 작품들이 가장 활발하게 출현한 시기는 1720년대에서 1750년대이다. 로코코 미술의 전성기와 일치하는 이 시기에 쉬느와즈리가 활성화된 배경에는 파리의 장식예술 시장을 독점하고 있었던 마르샹-메르시에(marchand-mercier)의 역할이 주요했다. 이들은 동양 도자기에 청동 조형물을 첨가하여 만든 실내 장식물과 중국, 일본에서 유입된 옻칠 패널로 제작된 가구를 파리 미술 시장에 유행시킨 미술상인들이었다.
    마르샹-메르시에는 파리 미술 시장에서 작가와 예술 애호가들을 연결하는 최초의 미술 중계인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18세기 프랑스 상류 사회에서 가구와 예술품의 수요가 급증하자 거래 영역을 예술품 판매에 한정하지 않고 귀족들의저택 전체의 장식을 책임지는 일종의 장식가의 역할을 수행했다. 미술 중계인이자 장식예술 책임자로서 이들의 활동 영역은 점차 단순한 작품 거래의 단계를 넘어서서 제작과 구매 과정에 개입하여 새로운 유행을 창출하는 것에 이르렀다. 이러한 18세기 미술 시장의 시대적 변화에 편승하여 마르샹-메르시에는 동양 유물을 로코코 장식의 일부로 수용하여 새로운 쉬느와즈리 장식품을 파리 미술 시장에 유통시켰다.
    귀족 사회의 예술품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했던 로코코 시기의 미술 시장은 작가와 예술애호가 그리고 미술상인들 간의 긴밀한 사회적 교류를 유발하며 새로운 취향과 양식을 태동시키는 공간으로 대두되었다. 동방 무역을 통해 프랑스에 유입된 동양 유물은 이러한 미술 시장의 역동성에 의해 로코코 미술에 수용되었다. 18세기 프랑스 사회에서 중국에 대한 관심과 이국적 취향을 형성시킨 다양한 요인이 존재했지만 이것이 하나의 예술양식으로 구체화된 것은 미술 시장을 통해서였다.

    영어초록

    In art, taste has been regarded usually as the decisive factor in the emergence of a particular style. Specialists have explained changes in the style of art, by way of the evolution of tast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of the rise and development of Chinoiserie in Rococo Art was seen as a way to gain insight in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 market of the time and changes in taste.
    Chinoiserie is an artistic term indicating small objects from China or objects that used Chinese motifs and form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term had multiple meanings. It could refer to objects that had entered Europe through trade with the East, or it could mean the taste for exotic pieces as well as the decorative objects themselves made in Chinese style. Because the term Chinoiserie referred both to the objects themselves and to the taste for these objects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art market of this time period is evident. The popularity of the Chinoiserie style peaked between the 1720s and the 1750s. This period overlapped with the height of the Rococo style itself. Behind this explosive appearance of Chinoiserie was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the art dealers, Merchants-Merciers. The Merciers fabricated decorative objects, which integrated bronze into Oriental porcelain, and popularized Japanese style lacquer furniture in the Paris art market.
    The Merchants-Merciers were the first art dealers in the sense of having mediated between art appreciators and the artists. As soon as the demand for furniture and art objects soared among the upper classes of eighteenth-century France, they not only dealt in individual objects but also acted as decorators, furnishing ensembles for entire interiors of Hôtels particuliers, that is, private mansions and estates of the aristocracy. In the process of such elaborate ventures, the Merciers were not only mediators and dealers in art objects. Going beyond these simpler roles, the Merciers actively intervened to produce a certain taste. Through these changes in the eighteenth century, by integrating Eastern objects into the Rococo style, the Merciers circulated new Chinoiserie objects through the Paris art market.
    The demand for art objects among the aristocracy rocketed during the Rococo period. This art market of the Rococo period thus helped forge an intimate link between the artist, amateur appreciators, and art dealers in a new way. Art objects obtained through trade with the East, thus obtained new momentum and became an integral part of the Rococo style. Many factors helped fuel interest in China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in France, but there was no denying that the art market and art dealer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anneling such interests toward the emergence of an art sty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