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브린느>: 여성의 피학증적 환상과 사랑 (: A Female’s Masochistic Fantasies and Lov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21.06
32P 미리보기
&lt;세브린느&gt;: 여성의 피학증적 환상과 사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88호 / 139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철권, 임진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의 주인공인 세브린느의 이해되지 않는 행동, 즉 사회적으로 요조숙녀의 위치에 있는 그녀가 왜 낮 시간에 창녀로서 생활하는지를 정신분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글에서는 다섯 개의 환상과 두 개의 회상을 그녀의 심리로 들어가는 실마리로 잡았다. 이해하기 힘든 행동은 무의식적 욕망으로만 설명될 수 있는데 그것은 환상 속에서 가장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동시에 세브린느의 말을 통해 피학증적 사랑과 창녀 생활에 대한 그녀 내면의 진실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그녀의 환상은 그녀가 피학증적 사랑을 욕망하고 있음을잘 보여준다. 그녀는 창녀 생활을 하면 할수록 평소 멀게 느껴지던 남편과의 관계가 더 가깝게 느껴지고 남편을 더 사랑하게 된다고 고백한다. 그녀는 창녀 생활을 통해 남편인 피에르가 프로이트가 말하는 ‘상처 입은 제삼자’가 되어 자신에 대해 엄청난 의심과 질투, 분노와 공격성을 보여주기를 원한다. 그래야 자신이원하는 피학증적 사랑을 충족시킬 수 있고 동시에 자신이 피에르의 욕망의 대상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브린느는 남편 피에르가 마르셀처럼 상처 입은제삼자가 되어 매춘부에 대한 사랑처럼 격렬한 사랑을 해주기를 갈망한다.
    영화의 마지막 시퀀스에서 전신마비가 되어 휠체어에 앉아있는 피에르가 위송에게서 모든 이야기를 들은 후에 눈물을 흘리고, 그 모습을 바라보는 세브린느는미소를 짓는다. 피에르가 눈물을 흘린다는 것은 그가 상처 입은 제삼자가 되었다는 의미이고 그래서 세브린느는 미소를 짓는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피에르가휠체어에서 일어서는 환상으로 끝나는데 그것은 영화의 첫 장면으로 이어진다. 영화의 첫 시퀀스에서 피에르는 세브린느와 함께 마차를 타고 가면서 “나도 과격해질 수 있어”라고 말한다. 환상 속에서 피에르가 변한 것이다. 마지막 장면에서위송에게서 모든 것을 들은 피에르가 상처 입은 제삼자가 되면서 질투와 의심, 분노와 공격성을 일으킨다. 그래서 마부에게 세브린느를 마차에서 끌어내려 채찍으로 때리게 하고 강간하게 한다. 세브린느는 남편이 자신을 욕망하게 만들면서동시에 자신의 피학증적 욕망도 충족시킨다. 영화는 환상 속에서 해피엔딩으로끝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incomprehensible behavior of Séverine who is the main character from a Freudian psychoanalytic perspective. It’s not easy to understand why she lives as a prostitute during the day, even though she is an elegant lady from a part of her society’s upper class. There are five fantasies and two recollections captured as clues into her psychology. Because her incomprehensible behavior can only be explained via unconscious desires they are best revealed in fantasies. Furthermore, the author attempted to analyze her inner truth of masochistic love and prostitution through her own words.
    She confesses that the more she lives as a prostitute, the closer and more in love she feels to her husband to whom she usually feels distant. Her fantasies show well that she has a strong desire for masochistic love. Throughout her life as a prostitute, she desires her husband Pierre to be Freud’s ‘injured third party’ and shows great doubt, jealousy, anger and aggression against her. Only then can she satisfy the masochistic love she desires, and confirm that she is the object of Pierre’s desire. Séverine longs for her husband Pierre to be an ‘injured third party’ as Marcel does and gives her intense love, such as a love for prostitutes.
    In the final sequence of the film, Pierre, who is paralyzed, sits in a wheelchair and shed tears after hearing the whole story from Husson. Séverine smiles at the sight of him grieving. Pierre’s tears mean he has become the ‘injured third party’. This is why Séverine smiles. The last scene of the film ends with a fantasy of Pierre standing up from his wheelchair, which leads to the first scene of the film.
    In the first sequence, Pierre says to Séverine as he goes in a carriage. “I can be violent, too.” In the fantasy, Pierre has changed. When Pierre hears the whole story, he becomes the ‘injured third party’. It causes him to feel jealousy and anger. That’s why he orders the horseman to pull Séverine off the wagon, whip her and rape her. Finally, Séverine makes her husband desire her and fulfills her masochistic desire at the same time. The film ends with a fantastical happy e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