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구르트 레버렌츠의 후기 교회당 건축에 나타난 뉴 브루탈리즘의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New Brutalism in Sigurd Lewerentz's Late Church Architectur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0.10
16P 미리보기
지구르트 레버렌츠의 후기 교회당 건축에 나타난 뉴 브루탈리즘의 의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19권 / 5호 / 65 ~ 80페이지
    · 저자명 : 김현섭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스웨덴 건축가 지구르트 레버렌츠(1885-1975)의 후기 교회당 건축에 나타난 뉴 브루탈리즘의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그의 경력의 대미(大尾)를 장식한 성 마가 교회당(1956-64)과 성 베드로 교회당(1962-66)은 투박한 벽돌의 건축어휘를 사용한 점이 가장 두드러진다. 바로 그 투박한 벽돌의 어휘야말로 레이너 배넘(1966)으로 하여금 레버렌츠를 뉴 브루탈리즘과 관련해 논하게 한 근거로서, 이 연구가 주목하는 바이다. 본고는 개별 건축의 해석적 차원 및 역사성의 차원, 두 가지 측면에서 이 건축물들이 갖는 브루탈한 성격을 탐구한다. 첫째, 개별 건축적 차원에서 두 교회당은 공히 ‘야수성과 성스러움 사이의 유희’라는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거친 벽돌-모르타르 축조법과 예배실 천장의 볼트 구조가 각각 야수성과 성스러움을 상징하며, 투박한 벽돌의 볼트면에서 둘이 교감하고 유희하기 때문이다. 둘째, 역사적 차원에서 볼 때, 두 교회당은 신 경험주의라는 타협으로 인해 교착된 스웨덴 근대건축에 커다란 도약을 보임으로써 새로운 돌파구를 타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차대전 후 “복지국가의 건축”으로서 영국에 전파된 신 경험주의(혹은 뉴 휴머니즘)의 타협적 태도는 젊은 건축가들의 반발을 야기하며 뉴 브루탈리즘을 태동시켰는데, 이 용어 역시 스웨덴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레버렌츠의 후기 교회당 건축은 독자적 배경 가운데 있었으나 그 흐름을 고국에서 확인했다는 측면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결론적으로, 성 마가 교회당과 성 베드로 교회당은 그 브루탈한 건축 특성으로 인해 레버렌츠라는 건축가의 개인 경력에 있어서는 물론이고 스웨덴 국내외의 건축사적 측면에서 중대한 의미를 갖는 건물이라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into the meaning of the New Brutalism sensed in the late church buildings of the Swedish architect Sigurd Lewerentz (1885-1975). St Mark's (1956-64) and St Peter's (1962-66) churches, his grand finale designs, have a unique architectural vocabulary of rough brickwork. The brick treatment is the basis on which Reyner Banham (1966) discussed him concerning the New Brutalism, and the point that this research focuses on. This paper explores the brutalist character of the buildings from two aspects - interpretational level of individual buildings and historical level of a broader view. First, the character of two churches could be interpreted with the phrase of 'play between brutality and sacredness'. The rough surface of brick and mortar in the buildings symbolises brutality and the vault of their chapels' ceiling sacredness. And the two characteristics meet and play on the rough vault surface. Second, in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argues that the buildings made a giant leap for Swedish modern architecture, which had been at a deadlock owing to the compromising attitude of the New Empiricism since 1940s. And the Swedish New Empiricism (or the New Humanism), spread to Britain as "Welfare State architecture" after World War II, brought about reaction of the young British architects such as the Smithsons and became the background that made the new brutalist moo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term of the New Brutalism was first used in Sweden by Hans Asplund, Lewerentz's brutalist late churches - which seemingly had nothing to do with the British nor the Corbusian lineage - are also meaningful in that they confirmed the tendency in its homeland.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St Mark's and St Peter's churches with the brutalist characteristics should be regarded as crucial buildings not only in Lewerentz's personal career but also in Swedish and international architectural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