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커뮤니티 공간론의 이론적 고찰: 뉴어버니즘의 담론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 (Theoretical Review of ‘Community’ Planning: A Critique of the Shaping of New Urbanist Discours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7.10
21P 미리보기
커뮤니티 공간론의 이론적 고찰: 뉴어버니즘의 담론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수록지 정보 : 국토계획 / 52권 / 5호 / 5 ~ 25페이지
    · 저자명 : 박진희, James William Potter

    초록

    서양에서 발생한 뉴어버니즘은 공공 주택으로서지어진 고층 빌딩의 열악한 주거환경이 유일한 근원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공적 공간에서 사적 공간이 분리되어 발달한 개별적인 교외 주택의 주거단지 구성에서 커뮤니티 형성이 결핍되었다는 비판에서 주로 비롯되었다. 즉 전혀 다른 건축 환경에서발생한 커뮤니티 계획의 개념이 우리나라에 직접적으로 받아들여져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사실을재고해 볼 여지가 있다. 역설하자면, 서양에서는 실패하였던 고층 주거환경이 우리나라에서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현재까지 가장선호하는 주거유형으로 자리 잡았다는 사실은 이러한 건축 환경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 및 문제 그리고 이에 따른 해결책 역시 다를 수 있다는 것을의미한다.
    과연 서양의 교외 주택과 우리나라의 아파트 주거환경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관계가 동일할 것인가? 서양에서 제시한 커뮤니티 공간론이 유도된 방향은 합리적이고 유일한 해결책인가? 이러한 해결책이 시간과 장소를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적용될수 있을 것인가? 이와 같은 질문들은 당연하게 여겨질 수도 있는 반면에 실제로 현재까지 우리나라학계에서 다루어진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당연시했던 커뮤니티 계획에 대하여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함으로써우리나라에서 커뮤니티 공간론이 적용되는 한계를고찰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New Urbanism revived the idea that community can be fostered through traditional urban patterns in the US, community planning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worldwide. Korea is not an exception. This paper reviews historically how and why the concept of community has become a focal point for urban practitioners and academics in order to inform our understanding of how planning policy and practice are transferred from one place to another. This study has two supplementary objectives: (1) exploring the historical separation of private space from public space in urban centers by comparing suburban houses and modern high-rises, the expansion of which reviv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 planning; and (2) reviewing how three major academic traditions (environmental determinism, urban sociology, and mainstream economics) explain the origin of the extreme opposition of the two built environments in the West. The findings show that the principles of New Urbanism are historically and geographically contingent and do not necessarily produce the presumed effects in different contexts like Korea. This paper thus offers a critical rethinking of the direct adoption of Western community planning without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contextual and cultural adaptation to the Korean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토계획”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