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질랜드 계약상 착오에 관한 법률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Contractual Mistakes Act 1977 in New Zealan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7.09
36P 미리보기
뉴질랜드 계약상 착오에 관한 법률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86호 / 413 ~ 448페이지
    · 저자명 : 박영목

    초록

    뉴질랜드는 계약에 관하여 기본적으로 영국의 보통법과 형평법이 적용된다. 그렇지만 뉴질랜드 정부는 보통법의 적용에 한계를 느껴 중요한 특별법률을 제정하였고, 그 대표적인 것이 계약상 착오에 관한 법률이다. 이 법률은 ‘계약 및 상사 법 개정위원회(Contracts & Commercial Law Reform Committee)’의 제안에 따른 것이다. 이 위원회는 (1) 법원이 어떤 사례를 착오사례라고 판단할 수 있는지를 정할 수 있는 확실한 원칙의 확립, (2) 지금보다 더 많은 그리고 더 넓은 범위의 구제수단 확립, (3) 어떤 것은 착오에 기초해서 어떤 것은 다른 법 제도에 의해서 규율되고 있는 현재의 파편화된 원칙들을 착오라는 하나의 법제도로 융합을 목표로 하였다.
    착오의 요건과 관련해서 본다면, 사실에 대한 착오와 법에 대한 착오를 포함하며, 문서 해석에 대한 착오는 법에 대한 착오의 하나이지만, 계약해석에 관한 착오는 포함되지 않는다.
    구제수단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첫째, 일방적 착오, 공통의 착오, 상호적 착오의 세 가지 유형 중 하나에 속해야 한다. 둘째, 그 거래의 결과가 본질적으로 불평등해야 한다. 셋째, 구제수단을 추구하는 측에서 착오에 대한 위험을 인수하지 않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착오가 계약체결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어야 한다.
    착오로 인한 구제수단에 관하여는 CMA 1977 제7조에서 규정하고 있다. 위 법률에 열거된 구제수단으로는 계약이 전부나 일부 혹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유효하게 존속한다는 선언(제7조 3항 a호), 계약의 취소(같은 조항 b호), 계약의 수정(variation of the contract: 같은 조항 c호), 원상회복이나 배상(restitution or compensation: 같은 조항 d호)이 있다. 그리고 법원은 이 밖에도 다양한 구제수단을 명령할 수 있다.
    뉴질랜드 계약상 착오에 관한 법률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로는 두 가지를 꼽고 싶다. 하나는 민법의 개정작업과 관련된 것으로, 상세한 규정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착오규정에 대한 개정논의는 없지만, 향후의 논의와 관련해서도 이러한 부분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는 동기의 착오에서 상대방의 사정을 고려하는 실무태도의 보편성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법원이 해석론을 통해 도입한 것인데, 논리적 난점에도 불구하고 타당한 태도라는 점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In New Zealand, the common law and equity of the United Kingdom applies to contract law. However, the Government of New Zealand has enacted important special acts about contract law, believing that the application of common law results in rigidities. A typical example is the Contractual Mistakes Act 1977. This act is based on the proposal of the Contracts & Commercial Law Reform Committee. The committee aimed at three things: "(a) the establishment of certain principle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urt has jurisdiction to entertain a case of mistake; (b) the establishment of a much, wider range of remedies than is currently available; and (c) the amalgamation of the present fragmented doctrines, some based upon mistake and others based upon different legal devices, into a single body of law dealing with "mistake"." In relation to the requirements of mistake, a mistake involves a mistake in fact and a mistake in law; A mistake in interpretation is one of the mistakes of law; No remedy shall be granted for mistak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In order for remedies to be recognized, all three requirements must be met. First, it must belong to one of three types: unilateral mistake, common mistake, and mutual mistake. Second, the outcome of the transaction must be inherently inequality. Third, the person seeking remedies should not have taken the risk of mistake. And this mistake must have affected the decision to conclude the contract.
    CMA 1977 Article 7 provides for remedies for mistakes. The remedies listed in the above Act include the declaration that the contract to be valid in whole or in part or for any particular purpose, the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the variation of the contract, restitution or compensation. And the court can order various other remedies.
    In my opinion, the New Zealand Contractual Mistakes Act 1977 has two implications for us. One is related to the revision of civil law. This is that the detailed rules do not give good results. There are no discussions on amendments to the current mistake regulations, but I think that this part is meaningful in relation to future discussions. Second, it confirms the universality of the attitude of cour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opponent in the situation of mistakes of the motive. This shows that it is a reasonable attitude despite the logical difficul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려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