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訥齋 朴祥의 賦 硏究 (A Study on Nuljae Park Sang's Prose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0.08
30P 미리보기
訥齋 朴祥의 賦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26호 / 81 ~ 110페이지
    · 저자명 : 김동하

    초록

    눌재 박상(1474-1530)은 일반적으로 절개와 의리의 선비이자 뛰어난 도학자, 청렴결백한 관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당대 제일의 문장가이자 1160여 수가 넘는 시를 남긴 위대한 시인으로서, 호남시단의 祖宗으로 칭송되는 인물이다. 일찍이 정조는 『訥齋集』을 重刊한 뒤 인쇄해 올리도록 하교하며, “우리나라의 시 가운데에서는 오직 고(故) 교리 박은(朴誾)과 증 이조판서 박상(朴祥) 두 사람의 시가 있다는 것을 알 뿐이다.”라고 하여 그를 박은(朴誾)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언급했다. 또한 허균은 『惺叟詩話』에서 “조선 시대의 시는 중종 때에 와서 크게 이루어졌다. 박상, 신광한, 김정, 정사룡 등이 아울러 같은 시대에 났으니, 이때의 빛나고 울리던 시는 천고에 일컬어질 만하다.”라고 하여 중종 연간의 시단을 빛낸 대표적 시인으로 언급했다.
    사실 눌재는 방대한 분량의 詩와 더불어 賦, 序, 記, 跋, 祭文, 文, 疏 등의 다양한 문체를 자유자재로 구사한 탁월한 문장가요 위대한 시인이었다. 눌재가 평생 동안 남긴 다양한 문학 작품 중 흥미를 끄는 것은 무엇보다도 12편에 이르는 부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12편의 賦가 모두 장편으로 쓰여 있어 전체 1424구에 이른 방대한 분량일 뿐만 아니라, 내용에 있어서도 요순과 3대의 왕도정치, 유교적 세계관과 인간관, 春秋의 역사 의식, 맹자의 의리 사상 등 실로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어, 눌재 문학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피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눌재가 남긴 12편의 부를 내용적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보았다.
    눌재 부 12편 중 <夢遊>, <五絃琴>, <石鼓>, <登泰山小天下賦>, <黃鍾賦> 등 5편은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주로 꿈이나 상상 내지는 환상의 기법을 통해 왕도를 찬양하고 지치를 동경하는 소망을 나타냈다. <夢遊>에선 3황5제 등 성인의 업적을 찬양하고 유교의 절의관에 기초한 역사관을, <登泰山小天下賦>에선 중국적 천하관과 儒道의 우월성을, <黃鐘賦>에선 周易의 우주관과 황제의 예악 사상을, <五絃琴>에선 순임금의 예악 사상을, <石鼓>에선 이상적 국가관 등을 표명했다. 눌재는 5편의 부를 통해, 德治에 기초한 王道政治가 실현되고, 하늘의 뜻이 펼쳐진 요순, 3대의 지치주의 시대가 구현되기를 갈망하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
    눌재의 安貧樂道하는 삶에 대한 의지를 담은 작품에 <爲善最樂>이 있다. 屈原이 <어부사>에서 은사인 어부와의 문답을 통해 속세와 동화될 수 없는 작자의 의지를 표현한 것처럼, 눌재는 <爲善最樂>에서 선비와 객과의 문답을 통해 선비의 진정한 즐거움을 표현했다.
    눌재는 폭군인 연산군과 유약한 임금인 중종 시대를 살면서, 정치적으로 많은 좌절을 경험했다. 중종반정 이후의 혼란한 시대상을 중국 당나라의 五王에 비겨 표현한 작품이 <弔五王>이다. 중종반정의 공신들에 둘러싸여 나약한 모습만을 보이다가, 己卯士禍와 辛巳誣獄 등으로 많은 선비들을 희생시킨 당시의 가슴 아픈 상황을 풍자했다.
    삼포왜란에서의 우리 군이 승리한 사실을 통해, 애국과 충군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현한 작품이 <平倭>이다. 왜적과의 싸움을 계기로, 국토방위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장기적이고 원대한 유비무환의 대비책을 강조함으로써 애국과 충군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했다.
    눌재는 정치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파란과 굴곡으로 점철된 삶을 살았다. <哀大鳥>, <海棠>, <聞杜鵑>, <擬自悼賦> 등 4편의 작품은 개인적으로, 가정적으로 험난했던 가슴 아픈 사연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擬自悼賦>에서는 가족들의 잇단 죽음으로 인한 처절한 아픔을, <哀大鳥>, <海棠>, <聞杜鵑>에서는 각각 자신을 덫에 걸린 커다란 새, 모란과 같은 부류인데도 인정받지 못하는 해당화, 밤새 피를 토하고 우는 두견 등에 비겨 능력을 지니고도 항상 정치 무대에서 소외되는 아픔을 노래했다.
    이를 정리하면 王道 讚揚ㆍ至治 憧憬, 山林 處士의 樂道, 時事 諷刺, 愛國 忠君, 抒情의 美學 등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Nuljae Park Sang was known as the man of justice and principle, as well as a man of stern integrity. But he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writers and poets during the reigns of King Yongsan and King Jeongjo at the time of the Chosun Dynasty. He was highly praised by King Jeongjo, the most academic king in our Korean history along with King Sejong, regarding the poems. He said, "There are only two poets' poems, that is, Park Sang and Park Eun. I think we must consider their poems the most representative poem's model." Furthermore, he was honored as a master of poets in Honam poetic circles.
    The Nuljaejip, named after his pen name, the collection of his works, contains 1160 pieces of poetry and 12 prose poems including a variety of literary styles, exposing the world to his unique talents. But in spite of his great literary relics, the study of the academic world regarding his works was very poor. Among his many works, I had a special interest in his unique 12 pieces of prose poems. First of all, they have large quantities, just like full-length stories. They are rich in contents, such as the Confucian point of worldly View and historic consciousness, and righteous sense of Mencius.
    In this thesis, I tri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rough his 12 prose poems. Therefore, I analyzed the respective prose poem thoroughly, and believed his thoughtful tendency to be typical of a follower of Confucianism.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m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ve points; praising of the rule of right and yearning of the ideal politics, happiness of the private citizen living in the forests, satire of the current events, patriotism and loyalty to his sovereign, and aesthetics of lyr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