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나키스트의 눈과 탈식민적 국제 연대의 상상 -박태원의 『약산과 의열단』(1946)을 중심으로- (Eye of Anarchist and Imagination of Postcolonial-International Solidarity :focused on Park Tae Won’s 『Yaksan the Heroic Corps』(1946))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9.02
22P 미리보기
아나키스트의 눈과 탈식민적 국제 연대의 상상 -박태원의 『약산과 의열단』(1946)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76호 / 115 ~ 136페이지
    · 저자명 : 하신애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박태원의 역사서사 『약산과 의열단』에 나타난 아나키즘의 사상성 및 탈식민적 국제 연대의 궤적에 초점을 맞추어 타 역사 서사들과의 비교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해방기 민족국가 건설을 둘러싸고 전개되었던 문화적 발화들을 다각적으로 가시화하는 것이다. 해방기는 “민족사 텍스트로서 역사서사”가 부상한 시기였으며, 건국사업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 하에 역사서사들이 “민족주의와 같은 촉매에 반응”함으로써 단일화․위계화․심미화된 민족/국가의 형상을 주로 그려내었던 시기였다. 그러나 민족주의만으로는 해석해 낼 수 없는 다채로운 역사쓰기의 관점들이 해방 공간에서 각기 다른 동력들에 의해 촉발되고 있었음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주의나 민족주의 계열의 역사쓰기 이외에, 제 3의 진영인 아나키즘적 사상에 입각한 『약산과 의열단』이 어떠한 ‘건설’의 형태를 제안하고자 했던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조선인 아나키스트들이 견지해 왔던 ‘개인의 자유 의지에 입각한 연합’이나 ‘권력에의 귀속 거부’라는 취지에 입각하여, 『약산과 의열단』은 위계적인 민족국가 건설의 명분을 모색하고자 했던 단일 영웅 중심의 타 역사서사들과는 달리 특정 위인이 아닌 개체 전체의 힘을 강조하며, 비영웅-민중이 각성하는 순간에 초점을 맞추어 수평적인 ‘집합’의 건설을 시도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러한 ‘집합’의 형태는 민족-국가라는 단일 정치권력으로부터 멀어져 아시아-세계를 둘러싼 초국경적 연대로 확장되는 바, 위와 같은 아나키스트들의 범세계적 연대의 상상을 조명하는 것은 해방기 조선인들이 선보였던 “탈식민의 시대정신(Zeitgeist)”의 가능성을 가늠하는 한편, 해방기 역사서사가 담지하는 지역/세계와의 연관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orbit of anarchism thoughts and postcolonial international solidarities found in Park Tae-won’s historical narrative 『Yaksan and the Heroic Corp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historical narratives in order to visualize cultural articulations that unfolded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rom various aspects. The liberation period was a time when ‘historical narratives as national history texts’ rose and under the mission that they must contribute to the founding of the nation, it was a period where historical narrators ‘responded to catalysts such as nationalism’ to draw the image of a unified, hierarchical and aestheticized nation/state. However,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various perspectives on writing history that cannot be interpreted only by nationalism were triggered by different driving forces during the space of liberation. In addition to history writing from the aspects of socialism or nationalism, this study examined what type of ‘construction’ the 『Yaksan and the Heroic Corps』 based on an anarchist belief, which was a third camp, was being proposed. Based on the purpose of ‘alliance based on individual free will’ or ‘denying reversion to power’, which were the opinions of Choseon anarchists, 『Yaksan and the Heroic Corps』 emphasized the power of the group instead of a single historical figure like other historical narratives that focused on a single hero to search for the justification of constructing a hierarchical nation-state. It should be given attention that it attempted to construct a horizontal ‘group’ focusing on the moment when non-heroic public masses are awakened. This type of ‘group’ fell away from the single political authority called nation-state and expanded to a trans-border solidarity surrounding Asia and the world. Therefore, focusing on the thoughts of the pan-global solidarity of such anarchists is significant in that it measures the ‘Zeitgeist of post-colonialization’ that the people of Choseon display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hile also making an in-depth investigation on the correlation of liberation period historical narratives with the region and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