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데거의 눈에 비친 현대인의 삶과 교육: 경이의 떠남과 교육의 퇴락 (Heideggerian Interpretations on Human Life and Education in the Modern Er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1.06
26P 미리보기
하이데거의 눈에 비친 현대인의 삶과 교육: 경이의 떠남과 교육의 퇴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3권 / 2호 / 53 ~ 78페이지
    · 저자명 : 엄태동

    초록

    현대의 교육은 이전 시대의 교육과는 완전히 다르다. 그것은 주위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경이로운 눈으로 바라보던 인간이 이 세상에서 사라지고, 자신의 의욕과 욕망을 앞세우면서 모든 것을 도구로 사유하는 현대인들이 등장함으로써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교육에 대한 반성적인 진단과 새로운 방향의 모색은 현대라는 시대가 생겨난 원천과 유래 자체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비판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못할 때, 그것은 현대의 교육을 외형적인 형태만 바꿔서 재연하는 미봉책에 그칠 뿐이다. 이와 관련하여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이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이다. 존재를 망각하고 존재자만을 표상적으로 사유하면서 이를 변형과 조작이 가능한 대상으로 드러내는 서양 형이상학의 자연스러운 귀결이 현대의 과학-기술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지식의 상품화와 교육의 도구화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의 교육을 낳는다. 하이데거의 사유는 경이라는 근본 기분이 인간의 곁을 떠남으로 말미암아 초래된 현대의 살풍경한 모습과 그 현대의 한 가운데서 퇴락해 버린 교육의 모습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는 우리가 망각하고 있는 교육의 본래적인 모습이 어떤 것인지를 그 이면에 숨기면서 간직하고 있다. 이를 적절한 말과 언어로 드러냄으로써 현대의 교육을 치유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영어초록

    Everything is being uncovered only to be instruments or raw materials for human desire and material life in modern times. Many people have warned that these modern trends would bring humans to an unprecedented crisis. According to Heidegger, these modern trends are the result of western traditional metaphysics. Western metaphysics has misunderstood what it means for something to be, answering this question in terms of beings, rather than asking about Being itself. As the result of this misdirected approach, everything has lost its own unique essence and been revealed simply to be instruments.
    Human ancestors had eyes to see the whole universe of beings in wonder, because they considered everything had its own essence. They thought humans had unique responsibility to uncover that essence. But modern men totally lost their ancestors' abilities to see everything in wonder. According to Heidegger, the essence of modern times or modern technology is the conversion of the whole universe of beings into an undifferentiated "standing reserve" (Bestand) of energy available for any use to which humans choose to put it. Heidegger described the essence of modern era as Gestell ("enframing"). As a necessary consequence of Gestell, education has totally been transformed to be means to get higher socioeconomic status.
    According to Heidegger, human being is Dasein, who has already an understanding of Being, can ask what Being is. Dasein is only the being who gives each Being to every being in the world and can put beings into the light of truth of Being. In this respect, Dasein is being in the world and truth of Being. Heidegger suggested that education came from Dasein's care (Sorge) for his own possibilities and solicitude (Fürsorge) for other people's possibilities. Care and solicitude are essential parts of Being of Dasein. Education and Dasein belong together. This study tried to uncover the authentic education concealed in Heidegger's thought of Being and described it with new educational words such as ascending education(上求) and descending education(下化).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ar from perfection, it critically analyzed our modern life and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Heidegger, and suggested authentic education forgotten by modern men.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finding the way to overcome modern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