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리바드라의 눈을 통해 본『현관장엄론』 서장에 관하여 (On the Introduction (1.1-1.17) of Abhisamayālaṃkāropadeśaśāstra through Haribhadra's Glass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09.02
26P 미리보기
하리바드라의 눈을 통해 본『현관장엄론』 서장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3호 / 289 ~ 314페이지
    · 저자명 : 이영진

    초록

    본 논문은 『현관장엄론』 서장에 대한 하리바드라의 주석들을 참조함으로써, 하리바드라의 눈을 통해본 『현관장엄론』과 『현관장엄론』 그 자체의 차이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Ⅱ. 연구사’에서는 산스끄리뜨 사본으로부터 『현관장엄론』과 주석서들을 편집한 역사와 번역 그리고 중요한 논문들을 소개하여 연구사를 개괄하였다. ‘Ⅲ. 하리바드라의 도입게송을 통해본 AA의 저자 문제’에서는 하리바드라의 눈을 통해서 보면 『현관장엄론』은 미륵이 8,000송 반야경을 주석한 문헌이지만, 실제로는 25,000송을 주석한 작자미상의 문헌이라는 사실과, 이점은 하리바드라가 최초로 『현관장엄론』을 8,000송 반야경과 연결시키려는 시도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한 과정에서 일어난 것임을 밝혔다.‘ Ⅳ. AA 1. 17과 관련한 하리바드라의 주석에서는 하리바드라가 법신을 자성신과 독립된 범주로 보아 4신론을 주장하지만, 『현관장엄론』은 이 둘을 동일한 용어로 보아 3신론을 주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하리바드라의 해석에는 중관학파 입장에 서서 유가행파의 3신론을 비판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been written for two purposes.: To introduce Abhisamayālaṃkāra(AA)’s commentaries as well as AA itself to the korean scholars and readers who have few information about these texts, and to point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s of AA itself and those of AA through the Haribhadra’s glasses, namely, Āloka and Vivṛti(Sphuṭārtha).
    In chapter Ⅱ, I have dealt with the brief history of modern research on the AA and its commentaries, including the editions of sanskrit manuscript, their translations and important articles about these commentaries..
    In chapter Ⅲ, I have treated of the authorship of AA. According to Haribhadra’s verses of homage in Āloka and Vivṛti, AA is ascribed to Maitreyanātha, a mythological bodhisattva. But, considering that Maitreyanātha was never mentioned as the author of AA by his preceding commentators such as Ārya Vimuktisena and Bhadanta Vimuktisena, its ascription to Maitreyanātha could be made by Haribhadra himself. I’ve shown that Haribhadra wanted to give authority to his commentary Āloka, the first commentary which connects AA with 8,000 Prajñāpāramita, through the adoption of the traditionally transmitted(śrūyate) mythology about Maitreyanātha and Asaṅga‧Vasubandhu. In doing so, I suppose, anonymous text AA was ascribed to Maitreyanātha by Haribhadra himself.
    In chapter Ⅳ, I have checked Haribhadra’s interpretation of AA 1. 17 in Vivṛti. Separating dharmakāya from svābhāvika, he maintained that buddhakāya of AA 1. 17 is classified as fourfold. But based on the grammatical analysis, dharmakāya must be modified by svābhāvika. Therefore buddhakāya of AA 1. 17 needs to be interpreted as threefold. Haribhadra, classifying dharmakāya from svābhāvikakāya, he actually criticize buddhakāya-theory of Yogācāra tradition which asserts that svābhāvikakāya being a synonym of dharmakāya means the ‘non-arising’ essence(śūnyatā) of Buddha’s undefiled qualities. Accoding to Haribhadra, based on the Mādhyamika position, if dharmakāya were identified with svābhāvikakāya, Buddha’s activities for others would become quite impossible. Because in the state of emptiness(śūnyatā) there is no activities of Buddha’s citta‧caitt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