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의 눈 건강관리 실태와 관리의식 조사 분석 (Analysis of a Survey of Adults’ Actual Attitude and Awareness of Eye Healthcar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8.12
11P 미리보기
성인의 눈 건강관리 실태와 관리의식 조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안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안광학회지 / 23권 / 4호 / 265 ~ 275페이지
    · 저자명 : 심정규, 예기훈, 권오현, 김세진

    초록

    목적: 눈 건강에 대한 성인들의 의식과 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안 전문가로서의 안경사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성인 349명을 대상으로 눈 건강관리 실태 특성, 눈 건강관리와 안경원 인식, 눈 건강관리 의식을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평소 눈 건강에 대한 정보 습득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하루 동안 스마트폰과 TV 및 PC 사용 시간은 각각 1시간~3시간이 많았다. 안과와 안경원을 방문한 시기를 비교한 결과, 안과의 최근 방문은 2년 이상 경과한 경우가 높았으나, 안경원의 최근 방문은 6개월 이내가 많아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안경사로부터 얻게 되는 눈 건강정보가 유익할 것이란 생각의 응답자가 많았으나, 오히려 안경원에서 눈 건강정보를 습득한 경험이 없는 경우의 응답자가 많았다. 안경사에게서 희망하는 눈 건강정보로는 시력관리가 많았다. 눈 건강관리 의식의 총점은 3.18점이었으며, 눈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4.23으로 가장 높았다. 눈 건강관리에 대한 의식은 여성이 (3.28점) 남성보다 높았으며(p=0.01), 연령층이 높을수록 높았다(p=0.00). 스마트폰 사용 시간(p=0.03) 및 TV 시청시간이 짧을수록, 안과 방문시기가 최근일수록 의식이 높았다(p=0.00). 안경원 방문시기가 최근일수록 그리고 방문주기가 짧을수록 각각 눈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p=0.00, p=0.00). 또한, 안경사에 의한 눈 건강정보가 유익할 것으로 생각하는 긍정적인 답변(그렇다)의 응답자가 높았으며, 실제 건강정보를 습득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의 눈 건강관리 인식도가 높았다(p=0.00, p=0.00). 결론: 본 연구 결과, 눈 건강관리에서 관리의식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고 주관적 지식수준은 가장 낮았다. 눈 건강관리 정보를 안경원에서 얻은 경험은 있으나, 주로 인터넷을 많이 활용하였다. 안경사에게서 기대하는 눈 건강정보는 시력관리가 가장 많았으나, 안경원을 2년 이상의 긴 주기로 방문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에, 안경사는 국민의 눈 건강관리에 최선을 다하는 전문가라는 인식과 위상이 높아질 수 있도록, 안경사의 역할 확대를 위한 방법과 정책 시행의 연구가 필요하겠다.

    영어초록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Korean opticians as experts by examining adult awareness of eye healthcare. Methods: The responder’s characteristics,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eye health care, and expected roles for Korean opticians in eye healthcare awareness, were analyzed using a survey of 349 adults. Results: The internet was typically used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eye healthcare. The most commonly reported cell phone use time was 1-3 hours per day. Similarly, the most commonly reported TV and PC use was 1-3 hours per day. In a comparison of visiting ophthalmic clinics and Korean optician shops, while the most recent visit to an eye doctor was more than 2 years ago, the most recent visit to a Korean optician shop was within 6 months for many respondents. Many respondents expected that information for eye healthcare received from Korean opticians would be helpful, but many did not report obtaining information from Korean opticians.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Korean opticians was about maintaining good vision. The total score for awareness of eye healthcare was 3.18 and importance of eye healthcare was 4.23. Women’s awareness (3.28 points) for eye health care was higher (p=0.01) than men’s; furthermore, older people ad higher awareness (p=0.00). Shorter usage time (p=0.03) for cell phones and TV viewing was the beneficial eye ealthcare step that most respondents were aware of. Additionally, respondents who had more recently visited an optical linic were more conscious of eye healthcare (p=0.00). The more recent the last visit to an optician shop and the shorter he interval between visits, the better the perception of eye healthcare (p=0.00 and p=0.00, respectively). In addition, ositive respondents who thought that information regarding eye healthcare from a Korean optician would be helpful as higher, and respondents with experience of learning about eye healthcare had a high awareness of eye healthcare(p=0.00 and p=0.00, respectively). Conclusions: In this study of the perception of eye health, respondents thought that eye health is important, as shown by the highest the importance in responses, and dependence on subjective knowledge levels was low. In some cases, information regarding eye healthcare was obtained from Korean optician, but the internet was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that respondent wanted to obtain from Korean opticians was about eye care, but the visit interval was longer than 2 years. 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nd status of Korean opticians as experts who do their best to improve the eye healthcare of the people, research on methods and policy implementation to expand the role of Korean opticians will b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안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