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음(觀音)의 눈에 대한 심리치유적 이해 (A Psychological Healing Understanding of the Eyes of Avalokitesvar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3.12
27P 미리보기
관음(觀音)의 눈에 대한 심리치유적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22권 / 153 ~ 179페이지
    · 저자명 : 김선화

    초록

    본 논문은 관음의 눈을 중심으로 그 치유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자가 특히 관음의 눈에 주목한 이유는, 상담자가 지녀야 할 안목이 관음의 눈과 같아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총 2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관음의 눈의 의미’에서는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게송을 중심으로 관음의 눈의 의미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관음의 눈은 중생들의 모든 어려움을 소리로 듣고 ‘관’할 수 있는 지혜와 자비의 눈이며 대중의 모든 소리를 관찰하고 그 마음을 어루만지는 ‘치유의’ 역할을 하는 눈임을 피력하였다. 3장에서는 상담자로서 관음의 눈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상담자가에게 필요한 눈은 내담자에 대한 공감의 눈과 상담을 잘 이끌어나갈 수 있는 지혜의 눈이라고 할 수 있다. 관음의 오관(五觀)에서 지혜관은 상담자의 안목으로, 자관과 비관, 곧 자비관은 공감의 마음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관음의 눈을 갖추기 위한 방법으로는 자비명상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healing meaning of the eye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reason why this researcher particularly paid attention to the eye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is because he thought that the discerning eye that a counselor should have should be the same as that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is paper consists of a total of two chapters. First, in ‘The Meaning of the Eyes of Avalokitesvara’, the meaning of the Eyes of Avalokitesvara was described, focusing on the stanzas of the Lotus Sutra 'The Chapter of the Universal Gate of Bodhisattva Avalokiteshvara(觀世音菩薩普門品)'. This researcher expressed views that the eyes of Avalokitesvara are the eyes of wisdom and mercy that can hear and 'see' all the difficulties of living beings, and that they are the 'eyes of healing' that observe all the sounds and soothe Sentient beings heart. In Chapter 3, we talked about the eye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s a counselor. It can be said that the eyes that a counselor needs are eyes of empathy for the client and eyes of wisdom to lead the counseling well. In the five sense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view of wisdom was understood as the counselor's perspective, and the view of compassion was understood as the heart of empathy. It was think of that 'Compassion Meditation' would be helpful as a way to acquire the eye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