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수영의 시 「눈」의 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Kim Soo-young's "Sno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1.09
16P 미리보기
김수영의 시 「눈」의 해석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23권 / 155 ~ 170페이지
    · 저자명 : 이남호

    초록

    김수영은 <눈>이라는 제목의 시를 세편 발표하였다. 1956년, 1961년, 1966년에 각각 발표하였는데, 그 가운데서 1956년에 발표된 <눈>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자주 실렸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작품에 대한 해석이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조그만 차이가 있긴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의 해석들은 공통적으로 눈을 긍정적인 대상으로 파악한다. 젊은 시인의 비판의식을 자극하고 내면을 정화시키는 매체로써, 순결과 정직 등의 의미소를 지니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눈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눈에 대고 침을 마음껏 뱉자고 하고 심지어 가래도 뱉자고 하는 내용과 모순을 이룬다. 순결한 대상에 대고 기침과 가래를 뱉는 것은 말이 안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점은 이 시에서 눈의 의미를 새로 생각하게 만든다. 그 중요한 계기가 되는 구절이 ‘죽음을 잃어버린 영혼과 육체를 위해서 눈은 살아 있다’이다. 죽음과 영혼을 잃어버린 영혼과 육체는 오만하고 타락하고 부패한 인간이다. 이들을 위해 살아 있는 눈은 그러므로 그들의 거짓과 타락을 깨끗하게 은폐해주는 대상이다. 눈은 이 세상의 모든 더러움까지 하얀 순결함으로 뒤덮어준다는 점을 생각하면 눈이 위선과 은폐의 의미소를 지니는 것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눈을 이처럼 위선과 거짓으로 파악하면 시의 이해가 한결 명료해진다. 시인은 눈이 녹지 않고 있는 것을 보면서 이 세상에 아직도 많은 위선과 거짓이 저렇게 추악한 진실을 뒤덮고 있다는데 생각이 미치고 이어서 그러한 위선과 거짓에 대해서 젊은 시인은 강하게 비판해야한다고 스스로 다짐하는 것이다. 이것이 <눈>에 대한 바른 이해일 것이다.

    영어초록

    Kim Soo-young(1921-1968) is one of most important poets in 20c Korean literature. He wrought 3 poems titled 「snow」. The first 「snow」 was published in 1956 and the second in 1961, the third in 1966, that has 5 year term. Among these the first 「snow」 is most well-known and interesting but has not been interpretated pertinently. They said that the figurative meaning of 'snow' is purity and aliveness in the almost existing interpretations. But if so, the interpretation could not have logicality. One of the problems is that purity of snow should not be the target to which dirty phlegm could be spit out.
    The third stanza says that the snow is alive for the sake of the soul and the body having forgot the death. They do not know the lesson of 'Memento Mori' and are corrupted easily. It is resonable to think that is for the sake of vice is also vice not virtue. Therefore the snow should mean something vicious. The fallen snow cover everything and make the dirty reality invisible. It suppress truth and fact. The meaning of snow in the first 「snow」 is very likely lie and concealment.
    Interpretating the meaning of snow like this, the whole meaning of the first 「snow」 could be clear and deep ; The poet call to mind the lie and concealment of this world looking over white world coverd by snow. He make his mind to unveil by coughing out and even spit phlegm out.
    The first 「snow」 is one of Kim Soo-young's masterpieces that show us the spirit of poet resisting vices of the world successfu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