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해양대학이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3항의 지정교육기관에 해당하는지 여부 -서울고등법원 2020. 10. 21. 선고 2019누56472 판결- (Whether the U.S. Maritime Academy falls under the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 under the Article 16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hip Personnel Act -Seoul High Court Judgment 2019Nu56472)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2.04
33P 미리보기
미국 해양대학이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3항의 지정교육기관에 해당하는지 여부 -서울고등법원 2020. 10. 21. 선고 2019누56472 판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법학회지 / 44권 / 1호 / 203 ~ 235페이지
    · 저자명 : 권창영

    초록

    대상판결에서는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국제협약」(STCW)의 당사국인 미국 소재 해양대학을 졸업하였으나 미국에서 해기사면허를 받지 아니한 한국인이 우리나라에서 해기사면허를 받기 위한 요건이 쟁점이 되었다.
    미국 해양대학을 졸업한 원고(대한민국 국민)가 미국에서 해기사 자격을 취득하지 아니한 채,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이 시행하는 해기사(3급 기관사) 시험에 합격하고, 관할당국에 해기사면허증의 발급을 신청하였다. 미국 해양대학이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3항(이 사건 쟁점조항) 소정의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한 교육기관에 해당한다면, 원고는 3급 기관사 면허를 받기 위한 승무경력이 인정되므로 즉시 해기사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 사건 쟁점조항과 같이 자격 요건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경우에는 엄격하게 해석하여야 하고, 문언의 범위를 넘어 유추해석하거나 확대해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1항 제1호의 외국의 지정교육기관에는 STCW를 비준한 외국이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한 곳도 포함된다. 이와 달리,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3항의 지정교육기관은 해양수산부장관의 지정을 받은 대학 등을 말한다. 따라서 미국 해양대학은 해양수산부장관의 지정을 받은 교육기관이 아니므로, 원고는 3등 기관사 면허를 발급받을 수 없다. 원고는 선박직원법 시행령 제16조 제1항 제1호의 특례에 따라 2년의 승무경력을 인정받고 추가로 3년의 승무경력을 쌓은 경우에만 3등 기관사면허를 발급받을 수 있다.
    선박직원법령의 취지에 비추어 보면, 시행령 제16조 제3항의 지정교육기관에 해당하지 아니한 외국의 해양대학을 졸업한 것만으로는 곧바로 우리나라에서 해기사면허를 취득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 최초의 판결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영어초록

    In this case, the requirements for a Korean who graduated from a maritime academy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a party to the STCW, to obtain a engineer officer’s license in Korea became an issue.
    The Plaintiff (South Korean citizen), who graduated from Massachusetts Maritime Academy, passed the maritime officer (3rd class engineer officer) test conducted by the Korea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raining Institute without obtaining a maritime officer qualification in the U.S. and applied to the competent authorities for a maritime officer’s license. If the U.S. Maritime Academy falls under the Article 16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hip Personnel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EDSPA’), the Plaintiff can obtain a maritime officer‘s license immediately because his/her period of seagoing service to obtain a 3rd class engineer officer’s license is recognized.
    In the case of acknowledging exceptions to qualification requirements, such as the controversial provisions of this case, strict interpretation must be made, and analogical interpretation or extended interpretation beyond the scope of the text cannot be allowed. Foreign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under the Article 16 (1) 1 of the EDSPA include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foreign countries that have ratified the STCW. In contrast, the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 under the Article 16 (3) of the EDSPA refers to a university, etc. designated by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herefore, since the U.S. Maritime Academy is not an educational institution designated by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he Plaintiff cannot obtain a 3rd class engineer officer’s license. The Plaintiff may obtain a 3rd class engineer officer’s license only if two years’ seagoing service are recogniz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provisions of the Article 16 (1) 1 of the EDSPA and an additional three years’ seagoing service are accumulated.
    In view of the purpose of the Ship Personnel Act,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judgment to confirm that a maritime officer’s license cannot be obtained in Korea immediately just by graduating from a foreign maritime academy that does not fall under the Article 16 (3) of the EDSP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