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갈라디아서 6:16의 평강기원의 수혜자들은 누구인가: 갈라디아서의 서신적 특성과 문맥을 고려한 해석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Peace Benediction in Galatians 6:16)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갈라디아서 6:16의 평강기원의 수혜자들은 누구인가: 갈라디아서의 서신적 특성과 문맥을 고려한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연구 / 15권 / 4호 / 734 ~ 759페이지
    · 저자명 : 주기철

    초록

    갈라디아서 6:16의 평강 기원은 몇 가지 점에서 아직도 학자들 간에 논쟁이 되는 구절이다. 논쟁의 이유는 이 기원문이 타 바울서신의 그것과는 다른 형태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보편적인 평강 기원은 그 명칭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평강’(eivrh,nh)만을 BWHEBB, BWHEBL, BWTRANSH [Hebrew]; BWGRKL, BWGRKN, and BWGRKI [Greek] PostScript® Type 1 and TrueType fonts Copyright ©1994-2015 BibleWorks, LLC. All rights reserved. These Biblical Greek and Hebrew fonts are used with permission and are from BibleWorks (www.bibleworks.com).
    기원하지만 갈라디아서 6:16에서는 평강에 ‘긍휼’(e;leoj)이라는 표현이 추가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이 기원의 수혜자들은 ‘너희’(meta. pa,ntwn u`mw/n 또는 u`mi/n)로 표현되지만 여기서는 이와 동일한 표현을 쓰지 않고 완전히 다른 두 표현이 쓰였기 때문이다(eivrh,nh evpV auvtou.j kai. e;leoj kai. evpi. to.n VIsrah.l tou/ qeou/). 이런 독특한 용어들이 쓰였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자들이 많은 제안을 하였다. 특히 이슈가 되는 것은 이 기원의 개수의 문제와 수혜자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이다. 즉, 바울은 여기서 평강과 긍휼의 두 가지 기원을 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과 이 기원문의 수혜자들의 정체성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많은 학자들이 노력을 하였지만, 여전히 서신의 상황과 문맥에 근거한 만족할 만한 해석을 내놓고 있지 못하는 것 같아 보인다. 2010년에 나름대로의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이응봉이 구문론적, 의미론적 해석을 통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대안으로 제시된 이 시도 또한 갈라디아서의 서신적 특성과 앞뒤 문맥을 고려해 볼 때 그리 만족할 만한 대안이 되지 못하는 것 같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먼저 이응봉이 제시한 대안의 결론과 그 결론이 가지고 있는 약점을 먼저 언급하였다. 이어서 갈라디아서 6:16의 바로 앞의 문맥이 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갈라디아서 6:12-15에서 바울은 자신의 동기와 거짓 교사들의 궁극적인 동기가 무엇인지에 대해 밝히면서, 어떤 것을 따라야 할 것인지에 대한 두 가지 예를 제시한다. 갈라디아서 6:16이 앞의 부분과 kai,로 연결되기 때문에 갈라디아서 6:16은 앞부분과 연결 지어 해석을 해야 하고, 갈라디아서 6:12-15은 갈라디아서 6:16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근거가 된다. 갈라디아서 6:16을 해석하기 위해서 그것이 가진 구별된 표현들에 대해서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바울은 ‘이 규례를 킬 자들'(o[soi tw/| kano,ni tou,tw| stoich,sousin)에게라는 표현을 썼는데, 이는 바울의 평강기원이 그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거나 혹은 따를 자들을 위한다는 의미이다. 둘째, 평강기원의 수혜자들을 위해서 2인칭 복수 대명사를 쓰는 대신에 바울은 auvtou,j와 to.n VIsrah.l tou/ qeou/를 쓰는데, 이는 하나님의 복 안에 모든 믿는 (혹은 다시 돌아오거나, 잠재적으로 믿을)자들을 포함시키기 위함이다. 셋째, 갈라디아서 6:16의 평강(eivrh,nh) 기원에 긍휼(e;leoj)이라는 표현을 첨가한 이유는 갈라디아서의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즉, 갈라디아인들은 거짓 교사들로부터 압박을 받으면서 다른 두 복음 사이에서 갈등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을 격려하기 위해서 긍휼이라는 표현을 첨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갈라디아서 6:16의 평강 기원의 독특성은 갈라디아 교인들이 처한 상황에 기인한 것이고, 그 서신적 특징과 문맥을 고려해서 살펴보았을 때 그것이 가지는 독특성과 의미를 바로 파악해 낼 수 있다.

    영어초록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Peace Benediction in Galatians 6:16

    Ki Cheol Joo (Kosin University)

    In this article, the special features of the peace benediction in Galatians 6:16 is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Pauline letters. Paul invokes Godʼs blessing upon those who walk by this rule, which means that Paulʼs blessing is conditional. In addition, Paul does not simply use the second person plural pronouns for the beneficiaries of blessing as he usually does in the peace benedictions in his other letters. There is another unusual feature in 6:16. Paul uses both the terms ʻpeaceʼ and ʻmercyʼ; whereas, only eirene (peace) is used in other peace benedictions. For this reason, scholars have attempted to answer the question as to why Paul composed the peace benediction differently. However, the debate is still ongoing and it seems that satisfying answers have not yet been given in relation to the immediately preceding context. Although Eung Bong Lee attempted to interpret Galatians 6:16 in a different way in the perspective of syntax and semantics in 2010, his conclusion also does not seem to reflect sufficiently the feature of Galatians as an epistle nor the immediate context of Galatians 6:16.
    For this reason, I comment first on the weakness of Lee's conclusion summarizing his concluding part. Afterward, I briefly look at what the immediate context of Galatians 6:16 is saying. In Galatians 6:12-15, Paul reveals the ultimate motives of the false teachers and his own. By revealing these, Paul suggests two models of believing in Jesus Christ. One is of the false teachers and the other is that of Paul himself; the former sets a bad example that should not be followed and the latter sets a good example to follow. Since Galatians 6:16 is connected to the preceding verse with kai, this verse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previous verses; Galatians 6:12-15 is the interpretive ground for Galatians 6:16. In order to understand Galatians 6:16, I have looked at the special features of the peace benediction in this verse in three ways. First, Paul uses 'those who walk by this rule' in order to bless all those who are following or will follow Paul's teaching and example. Second, instead of using second person plural pronouns for the beneficiaries, Paul adopts autous and ton Israel tou theou. This is because Paul wants to include all the believers (returning or potential believers) in the blessing. Third, in Paulʼs invocation of blessing, the unusual term e;leoj is added; probably because he is considering the Galatian context. Since the Galatians were struggling with a different gospel and with pressure from the false teachers to accept circumcision, Paul added the extra term eleos (mercy) alongside the usual term eirene (peace) in the peace bened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