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할 수만 있다면 누구든지 떠난다!”: 이란의 고학력 이주 현상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 (“I Will Leave this Country, if I Can!”: An Anthropological Analysis on the Migration of Highly-educated Iranian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8.03
39P 미리보기
“할 수만 있다면 누구든지 떠난다!”: 이란의 고학력 이주 현상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인류학 / 51권 / 1호 / 135 ~ 173페이지
    · 저자명 : 구기연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현대 이란의 국제 이주 현상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고, 국제 이주의 다양한 갈래 중 특히 중상류층 이상의 주로 고학력 이주 현상에 한정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국제 이주 이후 이주국에서의 삶을 중심으로 다룬 방식이 아닌, 이란현지에서 이민이나 이주를 꿈꾸는 이들의 목소리를 담음으로써 그들이 이주나 이민을 택할수밖에 없는 사회의 구조적 배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고학력 이주 현상인 해외 두뇌유출 문제를 통해 이란의 이주의 배경이 되는 복합적인 사회적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두뇌유출 문제는 이주 문제뿐 아니라, 현재 이란의 젊은 세대가 마주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풀어낼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기에, 본 논문에서는 해외 이주의 다양한 갈래 중 하나인 교육이주를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란은 교육열이 높고, 입시경쟁은 치열하며 인적 자원의 수준이 높은 편이다. 이란의 고등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이 ‘거대한 학위 공장’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있을 정도로 이란 내과잉교육 현상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기도 한다. 이란은 높은 문자 해독율을 기록하는, 고학력 사회이지만, 2017년 기준 30%에 가까운 높은 청년 실업률과 낮은 임금, 그리고 열악한이란의 경제 현실은 “할 수만 있다면 누구든지 떠난다”는 상황을 가져왔다. 경제적인 이유뿐아니라 이란 내 젊은 세대를 옥죄는 사회 시스템과 불안한 국내 정치도 이란 젊은이들에게탈출하고 싶은 현실을 가져왔다. 특히 고학력의 두뇌유출 문제가 사회적, 경제적으로 이란사회에 큰 손실을 가져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지만, 의사를 비롯한 이공계 두뇌유출문제는 심각하다. 최근 10년간 미국 내 유학생 박사학위 취득자 수가 상위 10개국 안에 들었고, 더욱 우려스러운 상황은 유학생 박사학위 취득자들의 미국 잔류 출신국 1위를 차지했다는 점이다. 이란 사회의 고등학력자가 증가하는 만큼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인프라가 뒷받침해주지 못하기에 이란은 현재 심각한 두뇌유출에 빠져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심각한두뇌유출 문제에 있어서 이란 사회 내부에서 좀 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애초에 이민의배경이 되는 사회적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이 더욱 고려되어야 하는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study the rea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brain drain” phenomenon currently witnessed in Iran, taking an anthropological approach. In Iran, educational aspirations tend to be extremely feverish, as the competition for university entrance is extremely intense and manpower is extremely highly qualifi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Iran are criticized for transforming themselves into degree factories, and the over–education phenomenon in Iran is spreading rapidly, to the point that it is now recognized as a social crisis. Despite Iran’s high literacy rate and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the dire economic circumstances characterized by a high unemployment rate of approximately 30 percent in 2017, and the low labor costs prompted an unhealthy awareness among members of the younger generations: “If I can, I will leave the country.” The confined social system, and the unstable internal political situation as well have caused Iran’s younger generations to seek escape from their homeland.
    The brain drain phenomenon, has especially come to the fore as a serious social issue, incurring great social and economic losses. Moreover, the brain drain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llects as well as doctors is more serious than ever. Over the past decade, Iran was listed as one of the top ten countries highest in the number of students who leave Iran to receive Ph.D.
    degrees in the United States. What is more alarming, is that Iran ranked first on a list of countri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students who decide to stay in the United States even after receiving their Ph.D. degrees. Relatively low social status of women, and the high unemployment rate in Iran explains for the fact that more women than men tend to stay in the United States or in other foreign countries after earning their degrees. That the current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infrastructure falls short of supporting the rising number of well–educated intellects in Iran is the main cause of the severe brain drain phenomen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