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소설 <혈의 누>의 서사전략과 텍스트의 균열 (Difference between Design for Writing Tears of Blood and the Actual Work)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2.03
26P 미리보기
신소설 &lt;혈의 누&gt;의 서사전략과 텍스트의 균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71권 / 417 ~ 442페이지
    · 저자명 : 장노현

    초록

    이인직의 <혈의 누> 창작의도는, 청일전쟁 때 있었던 옥련이라는 김씨 여아의 실사를 통해 국민들의 정신을 감발할 계몽담론을 펼쳐보이는 것이었다. <혈의 누>가 문명개화의 주제로 이해되기 시작한 것은 이런 창작의도에 기인하는 바 클 것이다. 하지만 본고는 이인직의 창작의도가 작품 속에 제대로 구현되지 못했다는 생각으로, <혈의 누> 텍스트의 서사 구성과 체계를 다시 분석했다. 그 결과 <혈의 누>가 최씨부인과 옥련을 중심으로 하는 가족주의 서사로 이해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창작의도와 실제 텍스트가 이런 차이를 보이는 일차적인 이유는, 이인직이 작품 서두에서 최씨부인의 서사를 확대했던 데 있다. 즉 내용적으로는 청일전쟁이라는 당대의 역사적 사건을 끌어들이고, 형식적으로는 서술적 역전과 가변 초점화를 도입하여 전대소설과는 다른 새로운 신소설을 만들려 했던 과정에서 애초의 계몽담론에 대한 구상이 흐트러졌던 것이다. 하지만 이보다 좀 더 근원적인 원인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당시는 제국주의 열강의 ‘문명화’ 레토릭에 감염되어 계몽의 논리와 식민화 논리가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았던 시기였다. 이런 속에서 이인직은 계몽의 논리와 식민화의 논리 중 어느 한쪽에 대한 분명한 선택을 유보할 수 있었다.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그의 다양한 이중적 행적들은 이런 유보상태로 인해 가능해졌으며, <혈의 누>가 애초의 창작의도와 달리 가족주의 서사로 마감된 것도 여기에 기인하는 면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옥련이 교육 수준에 걸맞지 않게 낮은 수준의 계몽성을 보이고, ‘인간존중’과 ‘여자의 개가’라는 근대적 가치가 상호 충돌하며, 국가주의적 사회진화론에 대한 어설픈 언급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텍스트 상의 균열은, 계몽의 논리와 식민화 논리가 서로 대립하는 가치이면서도 어떤 면에서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데서 비롯된다.

    영어초록

    Lee Injik wanted to write Okryeon’s real story to enlighten the national spirit. The advertisement for Tears of Blood makes clear it. Then many Shinsoseol research have understood that the work was about ascent toward civilization. But my analysis shows that the work is a kind of family story which is written around Mrs. Choi and Okryeon.
    Difference between design for writing and the actual work is caused by enlargement of narrative of Mrs. Choi to apply new narrative style and method. In other words, Lee Injik intended to publish different new novel from previous fiction by evading simple fixed focalization and introducing reversal of narrative. And doing so dispersed first design for enlightenment discourse. But there was more fundamental cause than this.
    He was ideologically situated in the border line between logic of Enlightenment and logic of Colonization. At that time, the world was become infected by the rhetoric of mission of civilization, so a clear demarcation between logic of Enlightenment and logic of Colonization didn’t exist. For this reason, Tears of Blood resulted in a kind of family story. Furthermore, a few textual crevices were due to this r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