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충격을 둘러싼 뇌의 작동 메커니즘과  자각한 제주 패리아 ― 현기영의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The Conscious Jeju Pariah and the Brain’s Operating Mechanisms in Response to Culture Shock— Focusing on the Linguistic Consciousness of Hyeon Giyeo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9.09
32P 미리보기
문화충격을 둘러싼 뇌의 작동 메커니즘과  자각한 제주 패리아 ― 현기영의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79권 / 261 ~ 292페이지
    · 저자명 : 홍기돈

    초록

    현기영의 첫 번째 소설집 『순이 삼촌』에는 탈향 제주인이 겪는 문화충돌 양상과 제주어 고수의 의지가 잘 드러나 있다. 이는 뇌의 신체예산관리 부위 (body budgeting region)가 예측오류를 겪는 까닭에 나타나는 현상의 표현이 다. 그렇지만 시간의 진행에 따라 뇌는 새로운 사회적 실재(문화)로부터 제공 되는 정보를 축적·재구축되며, 예측오류가 줄어드는 까닭에 존재를 뒤흔드는 긴장감 또한 줄어들게 마련이다. 『순이 삼촌』 이후 작품에서 탈향 제주인의 스트레스가 그려지지 않는 이유, 4·3 형상화에서 탈향 제주인이라는 장치가 제거 된 이유는 이로써 발생하였다. 대신 부각되는 것은 제주 민중들에게 면면히 이 어지는 장두 전통이다. 현기영이 파악하기에 4·3은 장두 전통의 연장이며, 이 는 제주도에 대한 육지의 편견과 멸시에 맞서는 방편이다. 또한 의성어·의태어 를 활용한 제주어의 전통을 복원해 냄으로써 제주인의 감각과 감정을 유지해 나가려는 노력도 펼쳐나갔다. 제주 정체성을 둘러싼 현기영의 노력은 자각한 패리아의 표상이며, 그가 표나게 내세우는 섬놈 근성의 근거이다.

    영어초록

    Hyun Kiyoung’s novel, Suni Samch’on, embodies the aspects of the cultural conflict experienced by the displaced people of Jeju Island, South Korea, and demonstrates the will to maintain the Jeju language. Culture shock is a phenomenon caused by forecasting errors in the body-budgeting region of the brain. Over time, the brain accumulates and recreates information offered from new social presences. When these forecasting errors become less frequent, the tension that makes these existences uncertain diminishes, which is why the displacement of the Jeju people in the works following Suni Samch’on is not described as stressful, and the motif of displacement is removed from depictions of the Jeju Uprising. The tradition of Jangdu (狀頭) is emphasized in its place, which has been continuously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of the Jeju Minjung. Hyun Kiyoung believes that the Jeju Uprising was an extension of Jangdu tradition, and a way to stand up to the mainland’s prejudices and contempt toward Jeju Island. He tries to maintain the senses and affects of the Jeju people by restoring the traditional Jeju language through the use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his effort concerning Jeju identity is symbolic of a conscious pariah and the basis of an island yokel, which he shows so clearly throughout his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