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산기 허혈 뇌경색의 조기 진단을 위한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Early Diagnosis of Perinatal Ischemic Stroke Based on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1.08
11P 미리보기
주산기 허혈 뇌경색의 조기 진단을 위한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19권 / 2호 / 130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희수, 이지훈, 이차곤, 남숙현, 어홍, 김지혜, 장윤실, 박원순, 이문향

    초록

    목적:주산기 허혈 뇌경색은 신생아기에 발생하는 주요 질환이지만 약 40%의 환자는 뚜렷한 증상을 보이지 않아 진단이 지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주산기 허혈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진단을 위한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2002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뇌 MRI로 확진된 주산기 허혈 뇌경색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으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주산기 병력 및 임상 증상을 확인하였고, 혈액 검사, 심장초음파 검사, 태반조직검사 등을 통해 주산기 뇌경색의 위험인자를 조사하였으며 추적관찰기간 동안 환자의 발달과 신경학적 진찰소견을 통해 신경학적 예후를 확인하였다.
    결과:전체 24례 중 남자가 16례(66.7%), 여자가 8례였고 만삭아는 19례(79.2%), 미숙아가 5례(20.8%)였다. 12례에서 초기 증상으로 무호흡이 있었으며 10례에서 발작이 확인되었다. 뇌 영상검사에서 중 대뇌동맥을 침범한 경우가 16례(66.7%)로 가장 많았으며 좌 반구의 뇌경색이 있었던 경우는 15례였다. 뇌 MRI에서 국소 병변을 보인 11례 중 3례는 확산강조영상에 의해 진단되었다. 증상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진단된 환자군에서 첫 증상이 발작인 경우가 많았으나 진단이 지연된 환자군은 무호흡이 더 흔하였다. 약 50%의 환자에서 발달 지연과 뇌성 마비 등의 신경학적 후유증이 확인되었으며 뇌 MRI상 병변의 범위가 넓거나 기저핵이 동시에 침범된 경우 불량한 예후를 보였다.
    결론:생후 수 일 내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무호흡이나 기면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이는 경우나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발작이 있었던 경우는 반드시 뇌경색을 감별해야 한다. 조기진단 및 확진을 위해 뇌 MRI가 중요하고 특히 확산강조영상은 질병초기에 국소 경색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며 짧은 시간에 검사가 가능하여 상태가 불안정한 신생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침범 부위가 넓은 경우, 특히 대뇌 반구, 기저핵을 동시에 침범하는 경우 신경학적 장애를 보였다.

    영어초록

    Purpose:Perinatal ischemic stroke (PIS)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nd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neurological disability occurring in the neonatal period. Due to its vague presenting symptoms, the clinical diagnosis of PIS can be delay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S in order to establish its early diagnosis.
    Methods:From January 2002 to October 2010, 24 neonates with evidence of ischemic cerebral infarction o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enrolled. Perinatal and neonatal clinical characteristics,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brain MRI finding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Using those data, analysis was done to elicit clues for early diagnosis and prognostic factors of PIS.
    Results:Sixteen males and eight females were diagnosed with PIS. Twelve cases presented with apnea and ten patients with seizures. The diagnosis of PIS was confirmed by brain MRI. Sixteen patients (66.7%) had infarction in the territory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and fifteen neonates had infarction in the left hemisphere. Of 11 infants who presented with a focal lesion on brain MRI, three patients were diagnosed by diffusion weighted images (DWI). Their T2- and FLAIR sequences showed subtle signal changes, whereas DWI revealed bright signal intensity. Thirte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delayed diagnostic group (diagnostic interval >24 hours). In those patients, apnea (69.2%) was more likely than seizures (15.4%) to be the initial symptom. The extent of the lesion on brain MRI was likely to be a better predictor of the neurologic outcome. Hemiplegia or hemiparesis was found in seven patients who had extensive lesions involving the gray and white matter, internal capsule, and basal ganglia.
    Conclusion:PIS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for neonates who present with apnea, lethargy or subtle seizures. DWI of brain MRI is very useful for early diagnosis of PIS. The extent of the lesion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소아신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