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용뇌(龍腦)의 의료적 활용과 유통 (Medical Applications and Distribution of Borneol during the Joseon Period)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24.04
57P 미리보기
조선시대 용뇌(龍腦)의 의료적 활용과 유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의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의사학 / 33권 / 1호 / 1 ~ 57페이지
    · 저자명 : 권기석

    초록

    용뇌는 독특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향료이자 약재였지만 열대 동남아시아에서만 생산되어 국제적인 교역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원료 식물과 가공 방식이 다르지만 물질적 특성이 유사한 장뇌가 개발되어 용뇌의 저렴한 대체품으로 유통되었다. 조선에서도 용뇌와 장뇌를 서로 별개의 약재로 인식하고 고급품인 용뇌를 입수하고자 노력하였다. 용뇌는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키고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독특한 효과가 있어서, 다양한 질병에서 증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었다.
    조선시대 용뇌는 대외교역을 통해서만 구할 수 있는 희귀한 물품으로서 향료와 방충 등의 용도로도 쓰였으나 의약품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용뇌를 왕실 가족에게 실제 처방한 기록이 다수 확인되며, 의학서에도 용뇌를 사용한 의약품과 유효한 증상이 다수 기재되어 있다. 용뇌는 조정 관료에게 매년 섣달에 ‘납약(臘藥)’을 나누어주는 관행에 힘입어 널리 조선 사회에 확산될 수 있었다. 납약은 평소에는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경우에 언제든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상비약’ 용도였는데, 다양한 증상에 적용 가능한 용뇌가 들어간 환약이 이런 목적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했다.
    용뇌는 적지 않은 의료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당약재’ 중 하나였다. 조선시대 용뇌는 중국과 일본을 통해서 수입되었는데, 진품 용뇌는 구하기 어려워 사행무역의 예물로서 유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장뇌도 함께 유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국가적인 수요를 반영한 관찬 기록이나 의학서에는 잘 언급되지 않는다. 국가적인 수요나 의학적 효능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고급품인 용뇌의 확보를 우선적으로 추구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7세기 전반에는 명과의 사행로가 불안해짐에 따라 해로를 통해서 용뇌를 수입해야 했고, 그 결과 물량 확보와 품질 관리에 문제가 생기면서 일본산 용뇌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일시적으로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대청 관계가 안정되면서 연례적인 사행 무역을 통해서 국가적으로 필요한 용뇌 등 당약재를 수입해 오는 체계가 정착되었다. 내의원에서 당약재 확보를 주관하되 비용은 호조에서 지급한 은을 사용하였다. 납제에 사용되는 당약재의 양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재정에 부담이 될 정도로 약재를 확보해야 했다.
    당약재 물량 확보를 위해 내의원은 ‘납자’ 또는 ‘공물주인’ 등으로 불린 공납업자를 활용했는데, 이들의 출현은 용뇌를 비롯한 당약재 무역에 민간 상인이 적극 개입했음을 보여준다. 민간 상인의 활동에 따른 약재 시장의 형성은 용뇌의 유통과 활용이 널리 확대되는 데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Yongnoe(龍腦, borneol) was a fragrance and medicinal ingredient with unique efficacy. However, it was characterized by being produced only in tropical Southeast Asia and being obtained only through international trade. In addition, jangnoe(樟腦, camphor) with similar material properties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s an inexpensive replacement for yongnoe, although the processing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yongnoe. Even in Joseon, yongnoe and jangnoe were recognized as separate medicines, and efforts were made to obtain a high-quality product, yongnoe. Yongnoe has a unique effect of relieving inflammation, pain and heavy feeling, so it could b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symptoms in various disea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yongnoe was a rare item that could only be obtained through foreign trade, and it was also used for perfumes and insect repellents, but it was most widely used as a medicine. There are many records of actually prescribing yongnoe to the royal family, and medical books also contain many medicines containing yongnoe and its effective symptoms. Yongnoe was able to spread widely in Joseon society thanks to the practice of distributing ‘nabyak(臘藥)’ to court officials every year in the twelfth month of the lunar canlendar. Since nabyak was used as a household medicine that was stored and used when necessary, pills containing yongnoe that could be applied to various symptoms were suitable for this purpose.
    Despite considerable medical demand, yongnoe was one of the dangyakjae(唐藥材), or Chinese medicines, that relied entirely on imports. During the Joseon Dynasty, yongnoe were imported through China and Japan, but genuine yongnoe was difficult to obtain, so they were often introduced as gifts of envoy trade. It is thought that jangnoe was also imported, but it is not well mentioned in official records or medical books reflecting national demand. Perhaps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prioritized securing high-end molten brain in order to maximize national demand or medical efficacy.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route of envoys to the Ming Dynasty became unstable, forcing the import of molten iron by sea. As a result, there were problems securing supplies and quality control, and national interest in Japanese camphor temporarily increased. However,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Qing Dynasty stabilized, a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ort Chinese medicines, such as yongnoe, which was required nationally through the annual envoy trade. Naeuiwon(內醫院), the medical center for the royal family is in charge of securing and using Chinese medicines, but the cost was covered by the silver paid by Hojo(戶曹), the ministry of finance of Joseon Dynasty.
    Since the amount of Chinese medicines used in the preparation of nabyak was not small, it was necessary to import enough medicines to burden finances. The purveyors for government played a role in supplying Chinese medicines to the government. Their appearance shows that private merchants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trade of Chinese medicines, including yongnoe. The formation of the medicinal market by private merchants' activities greatly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expansion of the distribution and use of yongno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의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