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尊․罍의 사용 (Joseon Dynasty’s National Rituals and the Use of 尊 and 罍)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7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11.09
70P 미리보기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尊․罍의 사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8호 / 171 ~ 240페이지
    · 저자명 : 박봉주

    초록

    尊과 罍는 국가 제례에서 ‘五齊三酒’라는 8종의 술과 ‘明水’와 ‘玄酒’라는 맑은 물을 담는 데 사용된 祭器 겸 酒器 겸 水器로서, 중국 고대의 6종의 尊에서 유래되었다. 중국 고대의 <三禮>에서 6尊인 犧尊, 象尊, 著尊, 壺尊, 大尊, 山尊의 외형과 용례의 기본틀이 정립되었는데, 희준․상준, 착준․호준, 대준․산준의 2종씩 짝을 이루어 春․秋 제례, 秋․冬 제례, 禘祭․祫祭에 번갈아 사용되는 방식이었다. 山尊은 ‘山罍’로도 별칭되었는데 별칭인 山罍가 널리 상용되어 차츰 5준 1뢰로 굳어지면서 후대에는 준․뢰로 통칭되었다. 당대의 <大唐開元禮>에서는 5준․산뢰와 ‘오제삼주’ 중 5제 1주를귀한 순서대로 1:1로 대응시키는 방식, 즉 대준-泛齊, 착준-醴齊, 희준-盎齊, 상준-緹齊, 호준-沈齊, 산뢰-淸酒의 조합이 수록되었는데, 이는 <삼례>보다 구체화되고 진일보한 용례였다. 북송 중기의 <禮書>에서는 이를 수정․보완하여 춘․추 제례에는 희준-예제, 상준-앙제, 산뢰-청주, 추․동 제례에는 착준-예제, 호준-앙제, 산뢰-청주의 조합 방식을 확정하였으며, 이것이 宋․元․明․淸 시대와 조선시대의 준․뢰 용례의 핵심 규정으로 계승되었다. 또한 준․뢰의 도설과 제도도 고금을 통해 계속 진화하였는데, 북송 초기의 <三禮圖>, 북송 중기의 <禮書>, 남송대의 <紹煕州縣釋奠儀圖>, 명대의 <大明集禮> 등에서는 전대의 성과를 계승하면서 좀더 진일보한 양식과 합리적인 규격을 갖춘 새로운 도설들을 차례로 수록하였다.
    조선시대의 국가 제례에 수용된 준․뢰의 도설과 용례는 삼례, 대당개원례, 삼례도, 예서, 소희주현석전의도, 대명집례 등에서 종합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수용 과정에서 독자적으로 취사선택한 부분도 확인된다. [世宗實錄] 「五禮」에 수록된 준․뢰의 도설은 예서와 소희주현석전의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고, 성종대의 國朝五禮序例의 도설은 <소희주현석전의도>를 계승한 것이다. 이에 비해 정조대의 春官通考의 도설은 <대명집례>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춘관통고>와 비슷한 연대에 제작된 社稷署儀軌, 景慕宮儀軌 등도 춘관통고, 대명집례와 흡사한 준․뢰의 도설을 수록하였다. 그런데 국조오례서례와 춘관통고의 중간 시기인 숙종 연간에 제작된 宗廟儀軌에서는 양자와는 다른 독특한 유형의 그림을 일부 수록하여 주목된다. 또한 大韓禮典에서는 오히려 국조오례서례와 흡사한 유형으로 복귀하는 듯한 흐름을 보여준다.
    준․뢰의 고금의 연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고의 3장에서는 吉禮 儀注와 饌實尊罍圖說 간의 종합적인 대조․분석 작업을 병행하면서 조선시대의 다수 제례의 규모․격식․등급에 따른 준․뢰의 실제 세부 용례를 천착하였는데, 그 결과 준․뢰의 핵심 규정과는 달리 다양한 변용과 설행상의 조정․응용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준․뢰의 규정이 전형적으로 준용된 것은 상당히 큰 규모와 격식을 갖춘(初獻․亞獻․終獻의 三獻 절차 등을갖춘) 大祀와 中祀의 제례들이며, 小祀․祈告․州縣․俗祭 등에서는 준․뢰의 수량과 종류가 생략․축소되고 준․뢰와 술의 종류 간의 조합도 원칙과는 다르게 변화하는 등 다양한 변수와 외적 조건들이 작용하였다. 이런 변수와 변화들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여건 속에서 하늘과 땅의 여러 신령들에 대한 공경에 만전을 기하고자 하는 국가 제례의 기본 정신은 전후기를 통해 변하지 않았으며, 일견 모순되는 듯 보이는 변용과 조정도 결국은 국가 전례라는 전체적인 틀을 구성하고 유지한 다양한 구성 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尊 and 罍 are utensils for ancestral rites and alcohol and water bowls to put 8 kinds of alcohol called ‘五齊三酒’ and clear water called ‘明水’ and ‘玄酒’ in national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originating from 6 kinds of 尊 of ancient China. In 三禮 of ancient China, the basic frames of the forms and examples of 六尊―犧尊, 象尊, 著尊, 壺尊, 大尊 and 山尊 were established, used pairs of 犧尊/象尊, 著尊/壺尊 and 大尊/山尊 in Spring/Fall ritual formalities, Fall/Winter ritual formalities and 禘祭․祫祭 alternately. 山尊 was also called ‘山罍,’ and as 山罍 was used commonly, they were called 五尊 and 一罍 and later called 尊罍. In 大唐開元禮of Tang dynasty, by 1:1 correspondence of 五齊一酒 among ‘五齊三酒’ with 五尊山罍 and that is, in the order of importance of 五尊山罍 and 五齊一酒, the combinations of 大尊-泛齊, 著尊-醴齊, 犧尊-盎齊, 象尊-緹齊, 壺尊-沈齊 and 山罍-淸酒 were included, which is a concrete and advanced example than 三禮, 禮書 of middle North Sung dynasty revised and supplemented this, the mode of combination of 犧尊-醴齊, 象尊-盎齊 and 山罍-淸酒 for Spring/Fall ritual formalities while that of 著尊-醴齊, 壺尊-盎齊 and 山罍-淸酒 were confirmed, which were succeeded as the key rules of 尊罍 in the periods of Sung, Yuan, Ming and Ching dynasties and Joseon dynasty. Also, the illustrations and institutions of 尊罍 also evolved throughout the all ages, 三禮圖 of early North Sung dynasty, 禮書 of middle North Sung dynasty, 紹煕州縣釋奠儀圖 of South Sung dynasty and 大明集禮 of Ming dynasty contain new illustrations succeeding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periods with more advanced styles and reasonable standards one after another.
    The illustrations and examples of 尊罍 accepted in the national ritual formalities of Joseon dynasty had been influenced by 三禮, 大唐開元禮, 三禮圖, 禮書, 紹煕州縣釋奠儀圖 and 大明集禮 comprehensively and in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parts were selected independently. The illustrations of 尊罍 included in 世宗實錄 「五禮」 were greatly influenced from 禮書 and 紹煕州縣釋奠儀圖, the illustrations of 國朝五禮序例 in Seongjong period succeeded 紹煕州縣釋奠儀圖. In contrast, the illustrations of 春官通考 in Jeongjo period were influenced from 大明集禮, and 社稷署儀軌 and 景慕宮儀軌 published in the similar year with that of 春官通考 included illustrations similar to those in 春官通考 and 大明集禮. But 宗廟儀軌 published in Sukjong period between 國朝五禮序例 and 春官通考 included some pictures different from them, which is noteworthy. Also, 大韓禮典 rather shows a trend of returning to the form similar to 國朝五禮序例.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尊罍, Chapter 3 in this paper contrasted and analyzed 吉禮 儀注 and 饌實尊罍圖說 comprehensively and at the same time dug into the detailed examples of 尊罍 according to the sizes and forms of a number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as a result, unlike the key rules of 尊罍, there had been various transformations, adaptations and applications. The rulse of 尊罍 were typically applied to the ritual formalities of 大祀 and 中祀 with a considerable size and form, while in 小祀, 祈告, 州縣 and 俗祭, the numbers and kinds of 尊罍 were omitted or reduced and the combinations with the kinds of alcohol changed differently from the principle in which a variety of variables and external conditions served. Despite these variables and changes,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national ritual formalities to ensure the veneration of various gods in the earth and the sky under given conditions has not been changed throughout the period, and seemingly contradictory transformation and applica -tion ultimately can be understood as various components that form and maintain the entire frame of the national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