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경관(景觀)이미지 향상을 위한 환경 색채디자인 제안 연구 - 경기도 도.농 복합 화성시(華城市)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Environmental Color Designs for Landscape Improvement - Focusing on Hwaseong, a mixed city with urban and nural characteristics, in Gyeonggi-do Province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3.12
12P 미리보기
화경관(景觀)이미지 향상을 위한 환경 색채디자인 제안 연구 - 경기도 도.농 복합 화성시(華城市)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1권 / 5호 / 95 ~ 106페이지
    · 저자명 : 강소연

    초록

    경관관리는 도시와 농어촌지역의 독특한 자연과 역사·문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자산으로 아름다운 국토를 보전·형성하기 위한 시대적 과제이다. 최근 도시와 농촌은 산업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훼손되고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에 대한 조화되지 않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경기도에 위치한 도·농 복합 화성시는 천혜환경이 주는 경관을 통해 다수의 개발 사업들이 혼재되어 진행 중이며 발전 잠재력이 부각된 곳이다. 하지만 최근 급속한 개발과정을 겪으면서 지역 내의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여 환경색채에 대한 혼란스러운 경관이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개발이 진행중인 화성시의 서부권역에 속하는 비봉면과 서신면을 중심으로 경관이미지 향상을 위한 환경 색채디자인을 고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현황조사에 의하여 도출된 전체 색상범위는 7.5R-7.5PB(비봉면), 2.5R-7.5PB(서신면)에 해당하고, 명도는 1-9, 채도의 분포는 10의 범위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비봉면은 녹지의 분포가 서신면은 넓은 영역에 수변 경관이 분포되어 있지만 색상, 명도, 채도의 색채 분포도에서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고채도, 중명도가 전역에 산만하게 분포되어 경관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관이미지 향상을 위한 환경 색채디자인 제안에서는 자연과 융화되며 친화적인 지역 고유 색채이미지를 적용하여 제안하였으며 주조색은 자연환경의 색채가 반영되어 있는 Y, GY계열의 색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무질서하게 혼재된 지붕색은 각 지역의 자연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토양색으로 추출하였으며 Y, YR계열 색상내에서 명도와 채도를 고려한 색상을 제안하였다. 건축외관의 색채는 비봉면의 수목에서 추출된 GY계열의 색상을 강조색에 적용하고, 서신면의 색채는 자연의 수변요소에서 도출된 G, PB계열의 색상을 강조색에 제안하여 수변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하였다. 옥외광고물의 주조색은 건축외관색채와 유사계열의 색상을 권장하며, 건축외관색채의 보조색에서 추출된 색상의 톤 조절을 통해 지역의 통일성과 정온한 환경 색채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Landscapes are important assets that can represent a given area's distinct nature, history and culture. As such, landscape management is an important issue where the preservation and/or formation of a beautiful homeland is concerned. In recent years, cities and rural areas have been damaged due to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their natural and man-made landscapes are not in harmony. In Hwaseong, which is an urban rural composite city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by utilizing its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city is attracting considerable attention. However, in the course of Hwaseong's rapid development, such projects have not reflected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region. As a result, landscapes that are not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lors have been created. For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es of environmental color designs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landscape images of the Bibong-myeon and Seosin-myeon areas, which a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Hwaseong City. According to an onsite survey of the areas, the overall color range was 7.5R-7.5PB for Bibong-myeon and 2.5R-7.5PB for Seosin-myeon; brightness was 1-9; and the distribution of chroma reached 10. Bibong-myeon was found to have a wide distribution of green land, whereas Seosin-myeon had a wide distribution of water landscapes. However, no significant discrepancy was found between the two area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colors, brightness, and chroma. A high chroma and a mid-range of brightness were distributed widely across the landscape of the entire area. Accordingly, regarding environmental color designs aimed at improving the image of the local landscape, this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of the original color image of an environmentally-friendly area and the use of the Y and GY color series as major colors in order to reflect the color of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regard to disorderly-looking roof colors, the soil color of each area was derived from analyses so a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al in each area, and the Y and YR color series were recommended after considering the brightness and chroma of the color tone. For the exterior color of buildings, the GY color series, derived from trees in Bibong-myeon, was proposed for the major colors, whereas the G and PB color seri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waterfront ele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 were suggested as accentuation colors for Seosin-myeon. As for the dominant colors of the outdoor advertising signs, a series of colors similar to the exterior colors of buildings were recommended. This study proposed a tranquil environmental color design to achieve uniformity of colors in the two regions by adjusting the color tones derived from the secondary color of the exterior building col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