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부 농어촌 지역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에 관한 조사연구 - 경상북도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Musculoskeletal Diseases in Dental Hygienist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Pohang, North Gyeongsang Province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12
13P 미리보기
일부 농어촌 지역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에 관한 조사연구 - 경상북도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4권 / 4호 / 179 ~ 191페이지
    · 저자명 : 문선정, 김은희

    초록

    본 연구는 임상 치과위생사의 근무경력과 근골격계 질환 증상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올바른 자세교정과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예방적인 관리대처 방안을 모색하여 보다 건강한 직업생활을 영위하고, 건강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북 포항에 소재한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임상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2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Version을 사용하여 직업 관련 특성, 근골격계 증상 경험유무와 동통 대처 방법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근무경력별 지난 1년간 통증 경험 유무, 통증 동반 여부, 통증 부위, 통증 발현 경험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근무경력은 4-9년이 높았고, 업무 형태는 진료가 높았으며, 일 평균 근무시간은 8-9시간이 높았다. 육체적 부담 정도는 견딜만하다 52.3%, 약간 힘들다 35.4%, 매우 힘들다 12.3% 순이었고, 일주일 평균 치석제거 건수는 5회 이내가 높았다. 최근 1년간 근골격계 증상 경험에서 작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낀 경험은 70.0%이었고, 근무 중 동통 발생 시 대처 방법은 자세 전환이 가장 높았으며, 동통에 대한 치료 방법은 자가요법이 20.3%로 가장 높았고, 참는다가 18.3%로 높았다. 근무경력별 통증 경험 유무에서는 통증 경험 있다가 1-3년 63.4%, 4-9년 75.8%, 10년 이상 72.1%이었다. 근무경력별 통증 동반 여부에서 1-3년, 4-9년은 팔 통증이 높았고, 10년 이상은 목 통증과 팔 통증이 높았다. 근무경력별 통증 부위에서 다리, 발의 통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3년과 4-9년의 통증 부위는 양쪽이었으며, 10년 이상은 왼쪽이었다. 근무경력별 통증 발현 경험에서 통증 정도가 1-3년은 중간 통증이 높았고, 4-9년은 약한 통증이 높았으며, 10년 이상에서는 약한 통증과 중간 통증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관련 세미나 등을 통해 구체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환경개선 및 구축을 통해 근육이나 관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피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인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areer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develop a plan for good postural correction and preventive management and measures against musculoskeletal system diseases,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ducation in health management and promotion; for this purpose,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duct a survey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at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in Pohang, North Gyeongsang Province from January to June 2022 and 220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For data analysis, an SPSS 25.0 Version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or the job-related characteristics, pres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methods of coping with pain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for experience of pain for the past year, concurrence of pain, pain site, and experience of pain manifestation by career. The most frequent length of career was 4-9 year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gave medical examinations and treatments while working an average of 8-9 hours per day. The most frequent degree of physical burden was bearable (52.3%), followed by somewhat high (35.4%) and very high (12.3%); the weekly average number of times for scaling was ≤5 in many cases. 70.0% felt pain or discomfort related to their work in terms of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the past year; the most frequent method of coping with pain during work was to change posture; 20.3% used self-care for pain; and 18.3% endured it. 63.4% of the respondents with 1-3 years, 75.8% of those with 4-9 years of career, and 72.1% of those with ≥10 years of career experienced pain. The respondents with 1-3 and 4-9 years of career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pain in the arms and those with ≥10 years of career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pain in the neck and arms. Pain in the legs and feet differed significantly by career: the respondents with 1-3 and 4-9 years of career experienced pain in both legs and feet and those with ≥10 years of career experienced pain in the left leg and foot. The respondents with 1-3 years of career were more likely to have moderate pain, those with 4-9 years of career mild pain, and those with ≥10 years of career mild and moderate pai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education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relevant seminars with the objective of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its prevention; individuals need to make efforts to avoid repeated use of muscles or joints and maintain good posture through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con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