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예비교사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의 체육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습득 과정 탐구 (A Study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arning Process of Practical Knowledge of P.E. Class in a Small-sized School in a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01
17P 미리보기
초등 예비교사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의 체육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습득 과정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23권 / 4호 / 71 ~ 87페이지
    · 저자명 : 최흥섭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체육수업에서 실천적 지식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대한 탐구로,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 체육수업을 경험한 D교육대학교 3학년 15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였다. 첫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 중 동기에서 나타난 주제는 첫 수업 도전, 전담교사 가능성 多, 학생 의견 반영, 대학수업과의 연계로 나타났고, 교육관에서는 안전관리 책임, 학생 학습권 보장, 기초기능 지도, 인성교육 지도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 환경 지식에서는 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 상반된 체육시설 및 용구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지식에서는 체육시설 및 용·기구 구비·확충, 소인수 수업에 대한 대책, 방과후 교실과의 연계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 내용 지식은 수업 내용 이해, 학생 실태 파악, 필수 지도내용 고려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학습 지식은 수준별 활동 및 대비책 어려움, 독특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구조에서 정적 상승 작용하는 이미지, 부분적으로 정적 상승작용 이미지, 서로 상충 작용하는 이미지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체육수업을 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어떻게 형성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하지만 수업 노하우나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단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사교육기관에서 구체적인 경험과 실질적인 피드백을 해줄 수 있는 현장과의 교육실습 공동기구가 많이 마련되어야겠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it was examined what practical knowledg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through P.E. class in a small-sized school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a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15 juniors in D teachers' college who experienced P.E. class in a small-sized school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First, among the knowledge of self, the themes expressed regarding motivation were the challenge to the first class, the high possibility of becoming a teacher with full responsibility,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and the connection to college classes, and regarding the view on education, those were found to be responsibility for safety management, students' guaranteed right to learn, teaching basic functions, and character education. Second, as for the knowledge of the milieu of schooling, they were turned out to be activ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and contrary sports facilities and equipments. Third, with respect to the knowledge of curriculum, those were the furnishing and expansion of sports facilities and equipments, measures for classes with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connection to after-school classes. Fourth, regarding th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they were found to b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o teach, grasping students' actual condition, and consideration for required teaching contents. Fifth, as for the knowledge of instruction, those were the difficulties in activities for each level and preparations and uniqu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practical knowledge had the image of static increase in the structure, that of partially static increase, and that of mutual contradiction. Through the study results above, the pre-service teachers could come to understand how P.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had been formed, and what efforts were necessary for its application. Yet, as teaching know-how or practical knowledge of class isn't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have to establish many joint teaching practice organizations with the field for specific experiences and tangible feedback, and the schools for teaching practice where negative experiences can be prevented must be sel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