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전반 판소리 여류명창 조농옥의 음악 고찰 (A Study on the Music of Cho, Nong - Ok, A Female Pansori Singer,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12
36P 미리보기
20세기 전반 판소리 여류명창 조농옥의 음악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0권 / 145 ~ 180페이지
    · 저자명 : 신은주

    초록

    20세기 전반 여성 음악가의 양산은 남자 음악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전통 예능의 판도를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여성 음악가들이 전통 예술의 한 축으로서 활약하며 음악문화를 이끌어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이들 20세기 전반 여성 음악인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의 대상인 조농옥 역시 20세기 전반 음반, 공연, 방송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던 판소리 여류 창자의 한 사람임에도, 1950년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음악 활동을 접어 오늘날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더구나 본명에서부터 출생지․소리 입문 과정․음악 활동 등과 관련한 잘못된 정보가 지속적으로 반복 인용되었던 바, 필자가 이에 대해 선행 연구를 통해 바로잡았다. 본고는 이에서 더 나아가, 조농옥이 남긴 음원을 대상으로 그녀의 소리 계보 및 음악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농옥이 남긴 음원의 사설과 노래 선율을 그녀의 스승으로 언급되고 있는 송만갑․정정렬․이동백 및 여타 다른 유파의 소리와 비교한 결과, 조농옥의 흥보가․수궁가․심청가는 송만갑의 소리를, 춘향가와 적벽가는 정정렬의 소리를 잇고 있다. 그러나 음악적으로는 송만갑 및 정정렬이 남긴 음반과 비교하여, 선율 흐름의 큰 골격은 유사하되 조금 변화된 형태를 띠거나, 아예 다른 선율로 소리하기도 한다. 특히 수궁가 중 <토끼화상> 대목의 경우, 사설은 송만갑과 거의 일치하되, 우평조로 소리하는 송만갑과는 달리 조농옥은 계면조로 소리하고, 선율의 진행도 송만갑보다는 동시대 활동하던 여느 창자들 및 오늘날 판소리 창자들의 <토끼화상>과 통하는 측면을 보여, 스승에게서 배운 그대로가 아닌 당시 유행하던 소리를 습득하여 음악적인 면에서 자신의 소리를 변화시켰다고 하겠다. 그리고 대체적인 조농옥의 음악적 특징은 도약진행과 1자수음식 진행, 장식음과 시김새, 리듬 변화를 통하여 결코 단순하지만은 않은 비교적 화려한 음악을 구사하되, 송만갑보다는 화려하고 정정렬에 비하여는 오히려 간결한 그 중간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영어초록

    Mass appearances of female musician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changed the landscape of traditional arts having mainly been made by male musicians. However, evaluations on female musician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ave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these days, even though female musicians have led music culture while having been active as an axle of traditional arts. Cho, Nong-Ok, a female master singer of Pansori is one of female singers who actively worked in record sales, theatre performance, and radio broadcast etc as object of this research. Nonetheless, she is not well known nowadays because she gave up music activities in comparatively early 1950s. In addition, wrong information such as her real name, birth place, motives of becoming to learn Pansori, music activities have been quoted continuously. Thus, researcher modified wrong records on Cho, Nong-Ok through a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considered her sound genealogy and music characteristics by objecting records that had been left by Cho, Nong-Ok.
    Song lyrics and melody of Pansori sound source having been left by Cho, Nong Ok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ong Man-gap, Jeong Jeong-ryeol, Lee Dong-bak, and others. As a result, Heungboga, Suggungga, Simcheongga of Cho’ Nong Ok’s Pansori follows that of Song Man-gab, and also Chunyangga and Jeokbyeokga is connected with Pansori of Jeong Jeong-ryeol. In music characteristics, sigimsae or buchimsae is a little monotonous compared to Pansori of Jeong Jeong—ryeol. However, her songs are making use of comparatively splendid music which are not simple at all through progressing that arranges several sounds to one letter of song lyrics together with skips, grace, sigimsae, and rhythm changes. Furthermore, her songs assumes a little changed form or sings with other melody instead, even though a large skeleton of melody is alike after comparing with Pansori having been left by Song Man-gab and Jeong Jeong-ryeol. That is, she seems to make her own melody by digesting with own music after having learnt Pansori, rather than just singing teachers’ teaching. Specially, in case of the section <Tokki Hwasang (painting portrait of rabbit)>.among Sugungga, song lyrics are almost matched with that of Song Man-gab, but Cho, Nong-Ok sings it with gyemyeongjo instead of woopyeonggjo tone of Song Man-gab. In melody progressing, she shows aspects of connecting with <Tokki Hwasang> by recent Pansori singers together with any Pansori singers who were active in the same age rather than Song Man-gab’. Resultantly, Cho, Nong-Ok could be said as changing own Pansori after having mastered music style of popular music at that time, not the same song having been learnt from her tea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