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廣藝舟雙楫』「綴法」에서 論한 行筆의 審美 形式 考察 (A Study on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行筆: a Type of Brush Work) Argued in the Chapter of 「CheolBeop (綴法)」, 『GwangYeJuSsangJip (廣藝舟雙楫)』)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02
31P 미리보기
『廣藝舟雙楫』「綴法」에서 論한 行筆의 審美 形式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67권 / 5 ~ 35페이지
    · 저자명 : 김동협

    초록

    본고는 淸代의 康有爲(1858∼1927)가 書法에 관해 체계적으로 기술한 『廣藝舟雙楫』 제21 「綴法」에서 論한 行筆의 審美 形式을 考察한 것이다.
    서예는 필법의 토대 위에서 작가의 역량을 발휘하여 문자에 생명을 불어넣는 예술이다. 필법은 필획을 구성하는 기본 법칙으로, 대체로 유연하고 탄력성이 풍부한 毛筆로 구현한다. 모필은 점과 획에서 생기발랄한 미감을 불러일으키는 도구이므로 行筆의 審美 形式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 행필은 서예의 용필 방법의 하나로 종이 위에서 筆鋒을 운행하는 방법이다. 행필이 바르지 않으면 글씨에 生氣를 잃게 되어 역대 서예가들은 서예 연마 과정에서 행필의 숙련을 가장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에 康有爲는 행필 용법에 있어서 王羲之가 『書論』에서 “十遲五急, 十曲五直, 十藏五出, 十起五伏의 변화가 있게 하여야 한다.”라고 말한 것을 인용하여 대대적 요소가 결구의 다양한 구조를 조화시키는 속성이자, 중요한 기본요소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行筆에서 筆勢의 審美 形式에 있어서 藏頭護尾·錐劃沙·印印泥·屋漏痕을 그 예로 들었다. 藏頭護尾는 圓渾有力한 筆勢를 드러내는 심미요소이고, ‘錐劃沙’는 遒勁險絶한 필세를 드러내는 심미요소로서 용필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印印泥’는 圓熟重厚한 심미요소로서 中鋒과 藏鋒의 예술적 효과를 내함하고 있으며, ‘屋漏痕’은 圓滑生動한 심미요소로서 竪劃의 용필 및 그 예술 효과를 표현하였다.
    서예 연마 과정에서 행필의 숙련은 筆勢의 다양한 風格을 구현한다. 이는 주관이 객관으로 나아가 전체의 공감을 형성하는 審美 풍모를 낳는다. 따라서 개별성을 강조하는 필세의 풍격과 전체성을 강조하는 심미 풍모가 작가의 역량과 정신을 융합하여 행필의 심미 형식을 갖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행필의 심미 형식은 작가와 감상자가 교감하는 형식으로서 서예 창작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을 수 없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bout the study on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argued in the chapter of 「CheolBeop」, the chapter 21 of 『GwangYeJuSsangJip』 systematically written about calligraphy rules by Kāng Yǒuwéi (1858~1927) of Qing dynasty.
    Calligraphy is an art that vitalizes characters through artists’ power based on the foundation of calligraphy rules, which are basic rules for composition of calligraphy strokes. Such calligraphy rules are realized through brush work that is generally flexible and elastic. Brush is a tool to draw up the vitalized aesthetic sense on the dots and lines, so that it is forced to follow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which is a type of brush work used to run the tip of the brush on the paper. With a wrong HaengPil, the character loses its vitality. Calligraphers have, therefore, considered skillful HaengPil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calligraphy training process.
    Regarding the usages of HaengPil, thus, Kāng Yǒuwéi referred to what Wáng Xīzhī said, “There must be such changes as ‘being slow 10 times while fast 5 times’, ‘curvy 10 times while straight 5 times’, ‘hiding 10 times while exposing 5 times’ and ‘standing 10 times while lying with face down 5 times’” in order to emphasize that counterpart formation is the attribute and an important basic element to harmonize a variety of calligraphy structures. He made such examples as ‘tail helping head’, ‘picking on sand’, ‘stamping on mud’ and ‘house building-up trace’ for the aesthetics form of brush work power in HaengPil. The usage of ‘tail helping head’ is an aesthetic element to disclose the brush work power for powerful round fusion while the usage of ‘picking on sand’ is an aesthetic element to express the firm mood. Such usages help being enlightened of brush work. The usage of ‘stamping on mud’ is the aesthetic element of being matured and dignified containing such art effect as showing and hiding sharpness while the usage of ‘house building-up trace’ is the aesthetic element of being vivid in round form to express the up-straight type of brush work and its related art effect.
    In the process of getting trained of calligraphy, the training of HaengPil realizes a variety of classical moods of brush work power, making subjectivity go forward to objectivity and further making a birth to a dignified aesthetics to form the sympathy of the whole. It can be, therefore, said that the mood of brush work power emphasizing individuality and the aesthetic mood emphasizing the whole fuse the artist’s performance and spirit to get the calligraphy work piece filled up with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Thus,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cannot help playing a key element in calligraphy creation as a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vie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