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페인어 심리동사의 논항구조와 사역성에 관한 연구 (La causatividad y la estructura argumental de los verbos psicológicos en españo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8.03
27P 미리보기
스페인어 심리동사의 논항구조와 사역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 수록지 정보 : 지중해지역연구 / 10권 / 1호 / 1 ~ 27페이지
    · 저자명 : 곽재용

    초록

    본 연구는 사역성을 갖는 심리동사와 사역성을 갖지 않는 심리동사가 동일한 형상구조를 가질 수 없음을 구조적으로 설명하고 사역성을 갖는 심리동사는 사건성을 가질 경우 원인제공자인 행위자주어가 기능범주의 지정어 위치에 생성되는 구조를 갖지만 비행위자가 원인제공자로 기능하는 비사건심리동사는 원인제공자가 어휘근의 보어인 추상적 PP의 내부에 나타남을 보았다. 이러한 특성은 스페인어의 심리동사 “preocupar”와 “temer”의 특성을 설명함과 아울러 여격으로만 경험자를 나타내는 스페인어의 심리동사 “gustar”가 비사역비사건심리동사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제안하고 이러한 스페인어의 세 가지 심리동사가 가지는 사역성과 관련된 특성이 수동구문과 분열적 사역구조의 실현에서 보여주는 통사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대안적 모델로 작용함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El objetivo de este trabajo es representar un análisis sintáctico de la causatividad y las estructuras argumentales de los verbos psicológicos en español. La construcción “A los niños los molestó Juan” se define psicológica causativa de característica eventiva y el experimentante está expresado por Caso acusativo. Por otro lado, la construcción “A los niños les molestó Juan”, que se define psicológica con experimentante dativo, no puede denotar la característica eventiva sino la estativa (no causativa). En esta construcción, el argumento nominativo se comporta como tema y no se puede caracterizar como agente causante.
    En este trabajo intentaremos proponer una propuesta alternativa para explicar las propiedades configuracionales de los verbos psicológicos causativos y los que no son causativos. El marco principal en que se desarrolla es de la Morfología Distribuida de Halle y Marantz(1993) y Harley y Noyer(1998). En este trabajo ofreceremos una nueva alternativa explicativa para las construcciones con verbos psicológicos adoptando varios estudios como Arad(1998), Belleti y Rizzi(1988), Landau(2005), McGinnis(2000), Pesetsky(199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