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논사(Kathāvatthu)의 논모(論母 Mātik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ātikā in Kathāvatth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0.03
24P 미리보기
논사(Kathāvatthu)의 논모(論母 Mātikā)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1호 / 85 ~ 108페이지
    · 저자명 : 백도수

    초록

    본고는 논사(Kathāvatthu)에 나타난 논모(Mātikā)를 파악하기 위해 논모의 내용과 분류, 경·율·론 관계 그리고 Kathāvatthu에 나타난 논모(Mātikā)의 특징에 대해 다룬다. 논모는 10개씩 정리한 율장의 주제요약어, DN의 경집경, SN의 주제어 나열과 해설, AN 법수별 해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7론에서의 논모는 내용을 분류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논사에서는 35개 단락, 23품, 216개의 논모가 있다. 형식적으로 핵심요약어가 논모를 대신하고 있으며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사의 논모는 붓다, 아라한, 예류자, 유학, 보통사람, 천신, 승가, 가르침, 사람, 세계, 무위, 계 등과 관련되어 있다. 논사의 논모는 다섯 가지 요소로 구분되는데 즉, 사람, 붓다, 아라한, 법, 계이며, 이 중 세 가지는 생명체, 다른 두 가지는 시간과 장소를 포함한 현상과 윤리이다. 논사의 논모는 율장, 경장, 논장과 경장의 주석서의 경문을 인용한다. 인용 대부분은 경장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논사의 내용은 붓다의 가르침과 실천, 그 결과에 관해 논한 것이다.
    논사의 논모 특징을 보면, 논모는 품 내에 제시되어 있고, 질문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형식은 A인가?, A가 있는가?, A가 아닌가?, A가 없는가?, A가 B일 수 있는가?, A가 B인가?, A는 B를 지니고 있는가? 등이다. 형식은 초기경전의 논쟁 형식에서 나온 것이다. 논모를 분석해보면, 논모는 각 품에서 무관한 내용도 다루기 때문에 무질서한 형태로 파악된다.
    본 논모에 대한 연구는 삼장과 아비달마, 대승불교의 논모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고 논쟁에 대한 방식을 파악하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als with contents and classification of Mātikās, the classification of contents in Kathāvatthu, relationship between Mātikā and Sutta, Vinaya, Abhidhamma and its characteristics. The Mātikā could be affected by classification of Vinaya, Saṃyuttanikāya, Aṅguttaranikāya etc. In Abhidhamma, Mātikās plays a role to classify contents. Kathāvatthu consists of 35 bhāṇavāra, 23 Vagga, 216 Mātikās, however, Officially there was no Mātikā in Kathāvatthu, instead of Mātikā appears uddāna(a summary word). the thing called mātikā in Kathāvatthu regards as question’s sentences. Mātikās in Kathāvatthu related with buddha, saint(arhan, sotapanna, sekha), normal person, divine gods, Order, teaching, person, cosmos, unconditioned thing, the aspect of ethics etc. Mātikās classify into five elements, namely, person, buddha, arhant, dhamma, sīla. 3 things related with living things, others two, all phenomena included with time and place, and ethics.
    Mātikās in Kathāvatthu related with quoted contents in Vinayapiṭaka, Suttapiṭaka, Abhidhammapiṭaka, Aṭṭhakathā etc. Among these, most of quoted contents come form Suttapiṭakas because contents of debate in Kathāvatthu are problems of buddha’s teaching, practice and its result etc.
    Characteristics of Mātikās in Kathāvatthu should be explained as follows: Mātikās could be understood as these suggested under Vaggas. They have questions. the form of Mātikā’s contents are is A?, is there A?, is not A?, is there no A?, could A be B?, does A B? to A have B? etc. The form come from debating methods in Buddhist Canons. However, Mātikās in Kathāvatthu are disorder because Kathāvatthu deals with same contents of Mātikās in different Vagg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