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천 최명길의 {사문록]에 나타난 사서해석 경향과 사상적 특징(Ⅰ) - 「논어기의(論語記疑)」를 중심으로 (The Tendency of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Jicheon Choi Myeong‐gil’s Samunrok(思問錄) (Ⅰ) - Focusing on Noneogieui(論語記疑))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5.12
33P 미리보기
지천 최명길의 {사문록]에 나타난 사서해석 경향과 사상적 특징(Ⅰ) - 「논어기의(論語記疑)」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47호 / 9 ~ 41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본 논고는 지천 최명길의 『사문록』 가운데 「논어기의」의 『논어』 해석 경향과 그 사상적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지천 최명길은 주자의 경전해석을 통설로 여겼던 당시의 학문적 흐름에 의탁하지 않고 경전 본의를 주체적으로 탐색하였다. 그는 이 과정에서 고주를 인용하고 일본의 고주본까지 검토하였으며, 더 나아가서 고주와 신주에도 의존하지 않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해석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먼저 고주를 인용하고 참조한 사례로는 「태백」 20장 ‘재난불기연호당우지재어사위성(才難不其然乎唐虞之際於斯爲盛云云)’, 「이인」 18장 ‘사부모기간(事父母幾諫云云)’, 「안연」 7장 ‘족식족병민신지의(足食足兵民信之云云)’ 에 대한 해석을 들 수 있다. 또 주자 신주에 비판적으로 접근했을 뿐만 아니라 고주에도 얽매이지 않는 독창적인 해석을 부기한 부분으로는 「선진」 19장 ‘불천적불입어실(不踐跡 不入於室云云)’, 「계씨」 9장 ‘생이지지자상(生而知之者上云云)’ , 「양화」 3장 ‘상지여하우불이(上智與下愚不移 云云)’에 대한 해석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가 양명학을 긍정할 수 있었던 사상적 경향을 살필 수 있는 부분으로는 「리인」 8장 조문도석사가의‘(朝聞道夕死可矣云云)’, 「태백」 4장 ‘군자소귀자삼(君子所貴者三云云)’ 에 대한 해석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추출할 수 있는 최명길의 사상적 특징은 心과 道는 본래 분리될 수 없고 공부를 할 때는 마음 상의 본원 공부가 본질이고 우선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그가 양명학을 긍정할 수 있었던 사유경향은 될 수 있지만 그의 양명학 수용여부나 철학적 특색에 대한 정확한 규명으로는 미흡한 점이 있다. 이 점을 좀더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문록』의 다른 편인 「맹자기의」와 「대학기의」 등의 해석내용을 아울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최명길의 「논어기의」에 대한 연구는 당시의 사서 해석 경향에 주자학 일변도가 아닌 다양성이 존재하는 일례를 검토하고 초기 양명학자로 거론되는 최명길의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여 한국 양명학의 전개를 재조망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tendency of interpretation of Analects (論語)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Noneogieui (論語記疑) of Jicheon Choi Myeong‐gil’s (遲川 崔鳴吉) Samunrok (思問錄). Jicheon Choi Myeong‐gil explored the original meanings of the scriptures, not following the academic trend in those days that took Zhu‐xi’s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as a generally accepted view. In this course, he quoted old annotations (古註), and reviewed even Japanese versions of old annotations. Furthermore, he suggested his own original interpretations without relying on old or new annotations. First, cases citing and referring to old annotations include the interpretations of ‘才難不其然乎唐虞之際於斯爲盛云云’ in Chapter 20 of Taebaek (泰伯), ‘事父母幾諫云云’ in Chapter 18 of Yanghwa (陽貨), and ‘足食足兵民信之云云’ in Chapter 7 of Anyeon (顔淵). In addition, cases approaching Zhu‐xi’s new annotations critically and adding his own interpretations apart from old annotations include the interpretations of ‘不踐跡 不入於室云云’ in Chapter of 19 Seonjin (先進), ‘生而知之者上云云’ in Chapter 9 of Gyessi (季氏), and ‘上智與下愚不移 云云’ in Chapter 3 of Yanghwa (陽貨). Lastly, cases showing his ideological tendency that led him to affirm Yang‐ming Studies include the interpretations of ‘朝聞道夕死可矣云云’ in Chapter 8 of Li-in (里仁) and ‘君子所貴者三云云’ in Chapter 4 of Taebaek (泰伯). Choi Myeong‐gil’s ideological characteristic derived from these interpretations is that the mind (心) and the way (道)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by nature, and in studying, the study of the root of the mental state is the essence and top priority. Although this view can be his tendency of reasoning that led him to affirm Yang‐ming Studies,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for determining whether he accepted Yang‐ming Studies or not or for explaining accurately how his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were.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need to review interpretations in the other parts of Samunrok, which are Maengjagieui (孟子記疑) and Daehakgieui (大學記疑). Research on Choi Myeong‐gil’s Noneogieui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case indicating diversit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in those days, not confined in Zhu‐xi Studies, and that studying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oi Myeong‐gil, who is regarded as a scholar of early Yang‐ming Studies, allows the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Yang‐ming Studie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