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원군 하야 후 서원 復設의 동향과 儒疏 활동 - 「請祠院復設疏疏廳錄」을 중심으로 - (Rend of Seowon Restoration and Yuso Activities After Daewon-gun Stepping Dow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10
24P 미리보기
대원군 하야 후 서원 復設의 동향과 儒疏 활동 -  「請祠院復設疏疏廳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65권 / 235 ~ 258페이지
    · 저자명 : 채광수

    초록

    이 글은 흥선대원군 하야 후 소수서원을 중심으로 전개된 영남 유림계의 서원 복설 유소 과정을 연대기자료와 청사원복설소소청록(請祠院復設疏疏廳錄)을 바탕으로 탐색한 것이다.
    1864년 신정왕후의 서원 축소와 혜택 박탈 전교를 반포했고, 이어 대원군은 노론의 성지 만동묘(萬東廟) 를 시작으로 향론 분열책을 활용해 미사액서원의 훼철에 성공한다. 그 연장선에서 1871년 남은 사액서원 철폐에 돌입해 47개소의 원사(院祠)만을 남겨두고, 전부 훼철시켰다. 대원군의 전면적인 서원 훼철의 동인(動 因)은 서원에서 파생되는 특권 제거에 있었다. 1차 때 속수무책으로 당한 영남에서는 2차 때 ‘만인소’로 대응했으나 대원군의 단호한 결의 때문에 봉입조차 하지 못했다.
    1873년 대원군은 실각과 동시에 만동묘가 복묘(復廟)되자, 8도 전역에서 서원 복설 활동이 폭증한다. 특히서원의 존망을 영남의 존망으로 인식했던 영남에서는 1877년 6월 소수서원에서 16개 고을의 인사가 임원으로 참여한 복설소(復設疏)를 기획해 상경한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소청활동을 펼친 결과, 영의정 이최응의아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게 되었다. 그리고 소수(疏首)의 동생 수찬 박종운이 이와 관련 된 상소를 올렸고, 마침내 25일 만에 봉입이 성사된다. 그러나 고종은 복설 폭증 우려 및 재정과 폐단 문제를 들어 불허한다.
    이처럼 조정에서 서원 복설 불가를 엄명했음에도 향촌에서는 여전히 서원을 필요로 했다. 서원을 매개로실력을 행사하던 사족들의 기반 상실과 서세동점의 외부 변화에서 오는 위기의식의 발로였다. 또한 족적 결속의 구심처 역할을 한 서원이 제공한 문중 일원이라는 정체성을 확인시켜 주는 공간이라는 인식이 강하게남아있었다. 특히 조선 후기 내내 재야로 밀려나 향권에 집착했던 영남이 여타의 지역에 비해 이러한 현상이더 두드러졌다. 서원이 오늘날까지도 신⋅복설이 되는 이유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eeks for the process of seowon (Confucian academy) restoration yuso (collective appeal to the king by the young scholars) process of the Youngnam scholars undertaken with the focus on Sosu Seowon after Heungseon Daewon-gun stepping down on the basis of the chronology data and 『Cheongsawonbuseolsosocheongrok』.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main context should lead to the conclusion.
    In 1864, Queen Sinjeongwanghoo presented the jeongyo (royal decree) to cut down on seowons and take away of privileges and Daewon-gun utilized the policy to split the rural factions with the beginning of Mandongjo as the holy site of Noron to have the successful disposition of seowons that did not attain the royal charter. In its extension, Yougnam worked its way for closure of the seowons with the royal charter to completely demolish them with only 47 wonsas remaining. The cause of the full-scale seowon disposition by Daewon-gun was to eliminate the special privileges derived from those seowons. Youngnam that was struck hard without any encountering measure in the first of such movement was counter-acted with ‘Maninso’ in the second movement, but they had no success due to the firm resolution of Daewon-gun.
    In 1873, together with the downfall of Daewon-gun, Mandongmyo was revived and it triggered the seowon restoration activ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particular, in Yougnam where the existence of seowons as the reason to exist for Youngnam, people of 16 towns with Sosu Seowon planned of appeals for restoration where they were participated as the officers came to the capital in June 1877.
    As a result of engaging in the appealing activities under the difficult environment, the fact was informed to the son of Younguijeong (prime minister) Yi Choi-eung. And, Suchan Park Jong-woon who was a younger brother of Sosu submitting the sangso (petition to the king) related to the foregoing and it was accomplished in 25 days at last. However, King Gojong did not allow the request due to the concerns of drastic increase for restoration and issues of finance and ill-effects.
    As such, the government stringently ordered for not permitting the seowon restoration but the rural town still needed seowons. It would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scholars that flexed their power with the seowons as the means had urgent sense of crisis from the loss of their stronghold and external change of the Seosedongjeom. In addition, there remained strong sense that the seowons that had the role of focal point for unity of clans was the space to confirm the identity as part of the clans. In particular, Youngnam that had been obsessed to the regional power as it was driven to the outside of power all through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was more conspicuous for such a phenomenon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reason that the seowons had new establishment and restoration until the present days could be attributed from 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