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정수의 1811년 연행과 대외 인식의 노정 - 『遊燕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1811 Envoy to Qing China and the Perception of Foreign World of Lee Jeong - soo)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9
43P 미리보기
이정수의 1811년 연행과 대외 인식의 노정 - 『遊燕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23호 / 133 ~ 175페이지
    · 저자명 : 이명제

    초록

    명청교체 이후 조선 지식인들은 조선을 중화문명의 유일한 계승자로 격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경주하였다. 조선 지식인들의 노력은 종족․지리․문화적 측면에서 중화의 지위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중에서도 문화적 측면에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청을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중화문화를 내면화하는 문제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된 것과 달리 청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커져만 갔다. 즉 청조의 치세가 안정될수록 이념과 현실 사이에서 청을 사유하는 방식이 분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李鼎受(1783~1834)가 활동하였던 19세기 전반의 서울지역은 다양한 사유들이 충돌하던 시․공간이었다. 한편에서는 18세기 후반 청 문물의 수용을 주장하였던 북학파들의 영향력이 아직 남아있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辛酉邪獄등을 통해 새로운 사상이 탄압당하고 외척 가문 중심의 권세가들이 정치적 주도권을 획득하고 있었다.
    이정수는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다양한 견해를 수용해서 자신만의 독특한 대청관을 내놓았다. 그는 우선 조선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강조하는 한편 고조선의 지리적 강역을 공유하고 있었던 청과 경계 짓기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청은 ‘이적’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받았다. 이적으로서의 청의 지위는 오삼계론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이정수는 송시열과 김창업, 그리고 일부 북학파에 의해 이루어진 오삼계에 대한 긍정과 청에 대한 이해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하지만 세계질서에 대한 이정수의 이해는 전통적인 시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정수는 외국조빙조에서 중국 정사 외국전의 전통에 따라 중국과 해외제국들에 대한 조공․책봉 관계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또한 이정수는 서역에 대한 강한 반감을 드러내었다. 그는 서양의 학문을 금수의 가르침이라고 표현하며 西洋禽獸論을 전개한다. 즉 이정수의 대외인식은 전통적인 중화와 이적의 구도가 여전히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것이 세계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儒學과 西學, 혹은 反儒學의 새로운 기준으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정수의 문화적 화이관이 19세기 전반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긴밀한 연관을 맺으며 확장된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Ming-Qing transition, Chosun’s intellects made efforts to elevate Chosun as the only successor of Chinese civilization. Their efforts were made in a way to acquire the status of being China in racial, geograph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among them, the utmost effort was made culturally. Meanwhile, they also discussed how to deem Qing continuously.
    Although the matter of internalizing Chinese culture proceeded rather smoothly, their awareness of Qing differed further. In other words, as the reign of Qing became stabilized, the way of deeming Qing between ideology and reality began to be divided.
    In Seoul during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hen Lee Jeong-soo (李鼎受: 1783~1834) worked actively, a variety of ideas conflicted. Even though Bukhak School insisting the acceptance of Qing’s civiliza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was still influential, new ideas were suppressed through Sinyusaok (辛酉邪獄) or such and the powerful centered around the families of maternal relatives were obtaining the political lead.
    Lee Jeong-soo accepted diverse opinions from Chosun intellects in the 18th century and presented his own unique view to Qing. First of all, he emphasized Chosun’s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 and then, he tried setting boundary from Qing which was sharing territory with Gochosun geographically. Through this, Qing was assigned with its identity as ‘ijeok’.
    Qing’s status as ijeok was once again verified by Osamgyeron. Lee Jeong-soo did severely criticize the affirmation of Osamgye practiced by Song Siyeol and Kim Changeop and some of the Bukhak School members and reconsideration on understanding of Qing.
    However, Lee Jeong-soo’s understanding of world order wa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viewpoint. Lee Jeong-soo did stress the relations of jogong․installation towards China and foreign empires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political affairs to China in Oegukjobingjo.
    Also, Lee Jeong-soo revealed his severe hostility against the West. Insisting that Western sciences are the teachings of birds and beasts, he developed Seoyanggeumsuron (西洋禽獸論). In brief, Lee Jeong-soo’s awareness of foreign countries was still significantly grounded on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China and igeok, and when this is extended to the scope of the world, it is converted to the new criteria of Confucianism (儒學), Seohak (西學), and anti-Confucianism (反儒學).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Lee Jeong-soo’s cultural Hwaigwa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the early 19th century and becoming exte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