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奉使日本時聞見錄』을 통해 본 조일문사 간의 필담과 그 의미 (written conversas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riters and their meanings Bongsailbonsimungyeollok(奉使日本時聞見錄))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03
36P 미리보기
『奉使日本時聞見錄』을 통해 본 조일문사 간의 필담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88호 / 391 ~ 426페이지
    · 저자명 : 황현우

    초록

    종사관 자격으로 무진사행(1748)에 참여했던 조명채는 ‘報告’와 ‘復命’의 의도를 목적으로 한 사행록 『봉사일본시문견록』을 저술하였다. 특히 조명채는 조선 문사와 일본 문사 간의 필담 내용을 미야케 타케시(三宅斌), 막부 유관인 린케(林家) 문인, 나카무라 란린(中村蘭林)이라는 세 그룹을 중심으로 기록해 놓고 있다.
    통신사 부사 서기 유후는 오사카(大坂)에서 이즈미(和泉) 지역의 어린 문사 미야케 타케시와의 필담에서, 그에게 의복·석전·학교 등 여러 예악제도에 관해 질문을 했다. 그리고 이어지는 질문에서 그의 독서목록의 파악을 통해 그의 학문적 지향에 대해 확인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일본 학술 문단의 상황에 대한 질문을 통해 주자학 존숭 의지에 대해서도 확인하려는 모습도 보인다.
    통신사 문인들은 에도(江戶)에서 막부 유관인 린케(林家) 태학두 부자와 함께 나카무라 란린이라는 일본 문사를 함께 만나게 된다. 조선 문사들은 막부 유관인 린케(林家)와의 필담을 통해 그들이 오랫동안 무사정권의 문형을 세습하며 무사안일하게 그들의 명예만 지키려 하는 자들로 묘사하고 있다. 조선 문인들은 주자학을 통해 동류의식을 형성하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그들을 긍정적으로 바라본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시문 실력이 날로 떨어지고 있다고 여겼으며, 오히려 고학파 계열 문인들보다도 못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조명채는 린케의 시문 실력과 일본 문단, 막부에서의 영향력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 상황을 사행록에 기록하였다.
    오히려 조명채는 후에 고학파를 따르는 이단으로 치부된 나카무라 란린과의 필담에 대해서는 더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조명채는 란린과의 필담에서 그가 통신사에게 일본 고서의 목록들을 제시하여 일본에 중국·조선에도 전하지 않는 고서가 있다는 것을 과시하기도 하며, 삼국의 역사서에 대해 언급하기도 하면서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기도 한다. 이를 통하여 조선 문사들에게 인정을 받으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비록 조명채는 그의 과시를 평가절하하기도 했지만, 중화문명을 흠모하며 삼국의 역사서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습을 중요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조명채는 필담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서 고증을 중시하는 고학파의 성향을 드러낸 란린에 대해 최종적으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조명채는 『봉사일본시문견록』을 통해 ‘미야케 타케시’라는 幼學을 통해 일본의 국속을 탈피하고 예악문명을 실천하는 일본인의 존재를 포착하려고 한 것이다. 그리고 통신사 문인들은 주자학적 이념과 질서를 통해 일본을 예악문명으로 교화시키겠다는 입장으로 그들을 바라봤고 이를 사행록에 남겼다. 그리고 막부 태학두인 ‘린케(林家)’와의 필담을 통해 오랫동안 무사정권의 문형을 세습하며 무사안일하게 그들의 명예만 지키려 하는 자들로 묘사하고 있다.
    나카무라 란린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주자학을 존숭하는 자로 인식하지만, 나중에는 이토 진사이를 따르는 고학파로 인식하고 있다. 일본 문단에서 경서 및 조선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통해 점점 세력을 확장해 나가던 고학파에 대해 의심과 비난 위주의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통신사 문인들이 겉으로는 란린을 비난하면서도 그들의 실력에 대해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적극적으로 경계하고 탐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조명채의 『봉사일본시문견록』의 조일 문사 간의 필담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그동안 일본 문사를 문학 교류의 상대방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조선 문사들이 필담을 통해 그들을 어느 정도 문학교류의 상대방으로 인정한 것이다. 그리고 그들에게서 일본이 예악문명으로 교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으려 했다. 일본에도 주자학과 중화의 문명을 따르려는 자들이 있으며, 그들이 일본의 야만적인 풍속을 안타까워하며 그 풍속을 힘써 일신하려고 노력하는 모습들을 담으려는 것에 있다. 일본의 고유풍속을 탈피하고 유교의례를 실천하는 일본인의 존재를 포착하려고 한 것이다. 그리고 통신사 문인들은 주자학적 이념과 질서를 통해 일본을 예악문명으로 교화시키겠다는 입장으로 그들을 바라본 것이다.

    영어초록

    Cho Myoung-chae(曺命采), who participated in the Mujin-Sahang(戊辰使行), wrote a meandering book, Bongsailbonsimungyeollok(奉使日本時聞見錄) , with the intention of 'reporting'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writing between Joseon and Japanese writers are recorded centering on three groups: Takeshi Miyake(三宅斌), Rinke(林家), and Ranrin Nakamura(中村蘭林).
    In a written conversasion with Takeshi Miyake, a young literary man in the Izumi area of Osaka, Yufu(柳逅) of Joseon asks questions about various institutions. In the following question, he shows an attempt to grasp his academic orientation through his reading list. It also shows an attempt to confirm the will to honor Zhu Xi(朱子) through questions about the situation of the Japanese academic literature.
    In Edo(江戶), Joseon writers met a Japanese literary man named Ranrin Nakamura with the shogunate-related father and son Rinke(林家). In their written conversations with the shogunate-related Rinke, Joseon writers describe them as those who have long succeeded in the form of the samurai regime and try to keep their honor carelessly. Joseon writers did not necessarily have a positive view of them just because they formed a sense of similarity through Neo-Confucianism(性理學). They thought that their poetry skills were falling day by day, and rather they were evaluated as inferior to those of the high school. Cho Myung-chae recorded this situation after learning that Rinke's poetry skills and influence in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nd the Japanese regime were becoming weaker.
    Rather, Cho Myoung-chae records in more detail his writing stories with Ranrin Nakamura(中村蘭林), who later followed the ancient studies. Cho Myoung-chae also shows off that there are old books in Japan that were not delivered to China and Joseon by presenting a list of old Japanese books to the news agency, and shows that they are trying to gain recognition from Joseon literature. Although Cho Myung-chae played down his display, he admired Chinese civilization and recorded an important interest in the history books of the three countries. However, as the writing progressed to some extent, Cho Myoung-chae became aware of Lan Lin, who expressed a tendency to value archaeology.
    Cho Myoung-chae's Bongsailbonsimungyeollok has the following meanings. Joseon writers, who had not recognized Japanese writers as counterparts of literary exchanges, recognized them as counterparts of literary exchanges to some extent through their writings and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that Japan could be edified from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