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申光洙의 「耽羅錄」에 나타난 제주에 대한 인식과 정서 (Awareness and Emotion of Jeju in Shin Kwang-soo's “Tamna-Rok”)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03
33P 미리보기
申光洙의 「耽羅錄」에 나타난 제주에 대한 인식과 정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66호 / 77 ~ 109페이지
    · 저자명 : 박용만

    초록

    조선시대 제주는 신화가 살아있는 공간이었다. 다가갈 수 없었던 육지인들에게 제주는 관념적 공간이었지만 실제 제주를 경험한 지식인에게 제주는목숨을 걸어야 하는 현실의 공간이었다. 1764년 서울에서 파견되었다가 풍랑에 발이 묶여 45일간 제주에 머물렀던 申光洙에게 제주는 ‘갇힌 공간’이었다. 신광수가 제주에 체류하며 남긴 「耽羅錄」에는 모두 49편의 시가 신광수와李瀷의 서문과 함께 실려 있다. 원래 신광수와 함께 간 이익, 박수희가 창화한 것이지만 신광수의 문집에는 다른 두 사람의 시는 없고 두 편의 서문과본인의 시만 수록하였다.
    신광수는 육지로 돌아온 이후 제주에서 기록한 창화록을 주위 지식인에게 보여 睦萬中, 丁範祖, 李玄煥의 서문을 받았다. 이외에도 蔡濟恭은 그에 대한 묘지명에서 이 일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그러나 신광수와 육지 벗들의 서문에는 제주를 바라보는 인식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제주는 육지인들에게 신선이 사는 동경의 공간인 동시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가기 싫은 공간의 이중성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신광수에게 제주는 絶島이자 자신의 의지와무관한 孤立無援의 공간이었다.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날 수 없는 ‘갇힌 공간’ 이었다.
    개성주의 문학사상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던 18세기 문학은 현실과 괴리된 관념이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 주위의 지식인조차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웠던 제주의 경험을 기록한 「탐라록」은 신광수의 제주 인식은 18세기 문학을 바라보는 중요한 기록이 된다.

    영어초록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濟州) was a place where myths lived. Jeju was an ideological space for landlords who could not approach, but for intellectuals who actually experienced Jeju, Jeju was a real space where they had to risk their lives. Jeju was a “confined space” for Shin Kwang-soo(申光洙), who was dispatched from Seoul in 1764 and stayed in Jeju for 45 days after being trapped in a storm. In the ‘Tamna-Rok(耽羅 錄)’ left by Shin Kwang-soo while staying in Jeju, there are 49 poems along with the forewords of Shin Kwang-soo and Lee Ik(李瀷). Originally, it was created by Lee Ik, Park Soo-hee, who went with Shin Kwang-soo, but in Shin Kwang-soo's writings, there were no other poems, only two prefaces and his own poems.
    After returning to the mainland, Shin Kwang-soo showed the changhwa-rok(唱和錄) recorded in Jeju to the surrounding intellectuals and received the forewords of Mok Man-jung(睦萬中), Jeong Man-jo(丁範祖), and Lee Hyun-hwan(李玄煥). In addition, Chai Je-gong(蔡濟恭)'s name of the grave for him recorded this in detail.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hin Kwang-soo and his friends on land in their preface to seeing Jeju. In the land, the duality of the space where Shinseon(神仙) lives in, and the space that they don't want to go to, which can lead to death, appears. On the other hand, for Shin Kwang-soo, Jeju was both a remote island and a space of an isolated employee that had nothing to do with his will. It was a "confined space" that could not escape even if it wanted to escape.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in which individualistic literary thoughts were firmly established, was no longer allowed to have an idea apart from reality. Shin Kwang-soo's perception of Jeju, which “Tamna-rok”, about the experience of Jeju, which was difficult for even the surrounding intellectuals, to understand properly becomes an important record for viewing 18th century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