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62년 성주농민항쟁과 읍리층의 동향 : 서택현의 『변무록』을 중심으로 (The Seongju Peasants’ Struggle in 1862 and the Tendency of Local Official Class : Focusing on Seo Taek-hyeon’s『Byeonmurok(辨誣錄)』)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05
49P 미리보기
1862년 성주농민항쟁과 읍리층의 동향 : 서택현의 『변무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연구 / 44호 / 129 ~ 177페이지
    · 저자명 : 송찬섭

    초록

    1862년 성주농민항쟁은 목사가 보낸 간결한 보고에 따르면 당시 일어난 수많은 항쟁 가운데 비교적 평범한 사건이었다. 그는 시위를 둘러싼 읍리간의 갈등 속에서 집을 훼파당하였는데 이때의 억울함 때문에 이 글을 작성하였다. 한 개인의 『변무록』이지만 이를 통해 성주항쟁의 전개과정이라든가 읍리층 내부의 동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나아가 특히 읍리가 직접 쓴 글이어서 그들의 의식, 행동, 용어 등이 자연스럽게 담겨 있다는 점도 매우 중요하다.
    1862년 성주에서는 앞서 일어난 진주의 영향과 더불어 읍폐12조를 바로잡는다는 명분으로 항쟁이 일어났었다. 그런데 성주의 전직 이방 배술호를 중심으로 한 배씨 주류세력과 그를 지지하는 이방 유영하는 이를 시위읍민 장두와 연결된 서택현이 읍폐건기를 제공한 때문이라고 보고 그를 공격하여 집을 부수었으며 여기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 서택현은 ‘변무록’을 작성하여 항의하였다.
    그런데 내용을 따라가 보면 이 과정에서 읍폐건기를 제공한 증거는 찾지 못하였고, 배술호, 유영하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세력들이 있음을 본다. 곧 읍폐건기 제공자를 고발하는 투표에서 오히려 배술호를 지명하였고, 장두 이발과 결 탁하여 서택현을 읍폐건기 제공자를 만들어 공격하였을때 이를 한사코 만류하던 읍리들도 많이 있었다.
    좀더 적극적인 해석을 하자면 이액이 많아 이임에서 소외되거나 불리한 처지 에 놓인 읍리들이 많은 상황에서 현재의 운영에 대해 반대하는 세력이 있고 그 중심에 서택현과 같은 원로, 도한기와 같은 신진세력이 있으며 그것이 농민항쟁 을 전후하여 발발한 것은 아닐까 한다. 더구나 서택현은 배술호, 유영하에 맞서 끝까지 저항하고, 간계를 기획한 유영하와 이발을 압박하여 자신에 대한 음해를 자백받아 자료를 만들어 각처(특히 작청과 전임 목사 이인설)에 호소하여 해결 해나갔다.
    읍폐건기의 작성자는 시위읍민 내부일 수도 있고 어쩌면 서택현이 아닌 다른 읍리일 수도 있지만 간략하면서도 읍폐전반을 간략하게 잘 정리하였다. 그것이 시위민들이 제시한 읍폐12조이다. 여기에 따르면 성주 부세운영의 전반에 걸쳐 폐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변무록』을 비롯하여 이원조 상소 등을 통해 서 성주의 이액이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성주의 읍민들의 불만을 해소하 고 읍리사회를 잘 운영하려면 배술호 중심의 현재 읍리의 운영방식을 바꿀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외부적인 여건도 여기에 영향을 미쳤다. 1862년 성주에서 1,2차 시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던 배술호 체제는 1864년 더 이상 포리 문제를 방치할 수 없었던 중앙의 명령을 받은 감사에 의해 상당히 무너졌으며, 1866-1867년 암행어사 박선수를 거치면서 1868년 또다시 영읍의 처벌 에 의해 결국 무너지고 말았다. 그 결과 배씨 일족은 큰 타격을 받았다. 이로써 1862년 이서들의 읍폐에 따라 발발한 사건이 한 단계 마무리되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그들에 의해 제거대상이었던 서택현은 살아남았고 새로운 세력들이 중요 직임을 차지하였다.
    읍리 내부에서 직임을 두고 갈등과 싸움이 있었음은 이미 파악되고 있지만 성주사례는 ‘사회적 이슈’를 두고 수탈을 약화 또는 개선하려는 세력이 도전하려는 동향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 시기 읍리를 지냈던 도한기가 읍리 생활 을 마감한 뒤 부세운영을 개선하려는 내용을 담은 글을 저술한 것도 이러한 바탕 위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한다. 성주는 그 뒤 읍리운영에 변화가 있었으며, 1880-1890년대 이방선임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사건으로 이어졌다. 공식자료로는 몇 줄에 지나지 않았지만 실제 그 내면에는 이같은 풍부한 사건이 있다 는 점을 볼 때 잘 알려지지 않은 다른 고을에서도 실제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을까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듯하다.

    영어초록

    The Seongju Peasant’s Struggle in 1862, according to a very concise report by the Country’s Officer, it was an ordinary process among numerous incidents at the time. Then, when I discovered a material called 『Byeonmurok』 written by a person named Seo Taek-hyeon a former yibang(吏房), the content became very rich. He wrote this article because his house was destroyed in the conflict between between Local Official Class. Although it is an individual’s Works. i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eongju Uprising and the trends within the Local Official Class(邑吏層). Furthermore, it is also very important that the eupri personally wrote their rituals, behaviors, terms, etc. naturally.
    In Seongju in 1862, along with the influence of Jinju, which occurred earlier, there was a protest under the pretext of correcting the 12 articles. However, the mainstream Bae clan, led by Bae Sul-ho, a former yibang(吏房) in Seongju county, and Yoo Young-ha, who supported him, were attributed to Seo Taek-hyeon, who was connected to the protest leader(狀頭), who provided ‘Eubpye 12 Articles(邑弊12條)’, attacked him and destroyed the house, complaining about injustice. To this end, Seo Taek-hyeon wrote 『Byeonmurok』 and protested.
    ‘Correcting the 12 Articles(邑弊12條)’ was brief and well organized. Accord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evils throughout the Seongju Tax Administra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Seongju’s divergence is very large through 『Byunmurok』 and the appeal of Lee Won-jo. In the end, in order to resolve the dissatisfaction of the townspeople in Seongju and to manage the township well, there was no choice but to change the current management method of the township centered on Bae Sul-ho. On the other hand, external conditions also had an influence on this. The Bae Sul-ho system, which was maintained despite the 1st and 2nd protests in Seongju in 1862, was significantly overthrown by the central government inspectorate who could no longer neglect the police issue in 1864. It was eventually destroyed by the punishment of Yeong-eup(營邑) again in 1868.
    As a result, the Bae clan suffered a heavy blow. With thi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ase that occurred in 1862 following the abolition of the Eupri Class was completed one step. On the other hand, Seo Taek- hyeon, who had been targeted by them, survived, and new powers took on important posts.
    Although it is already known that there were conflicts and fights over the position within the Local Official Clas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eongju case has a tendency to challenge the forces that seek to weaken or improve exploitation over ‘social issues’. After that, there were changes in the management of the Local Officer Class(邑吏) of Seongju, and it led to various incidents surrounding the appointment of yibang(吏房) in the 1880-189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