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혼돈록(餛飩錄)』에 대하여 (Research on Hondonnok written by Jeong Yak-yong)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3.12
53P 미리보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혼돈록(餛飩錄)』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6호 / 351 ~ 403페이지
    · 저자명 : 김언종, 안세현

    초록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잡저류(雜著類) 저술인 『혼돈록(餛飩錄)』 현전본의 종류와 주요 내용을 학계에 소개하고, 이 저술이 지닌 자료적 가치를 부각시키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혼돈록』은 신조본(新朝本)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장서각과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 『여유당집(與猶堂集)』에 각각 수록되어 전한다. 또 1974년에 영인된 『여유당전서보유(與猶堂全書補遺)』 2집에도 수록되어 있다. 조목은 장서각본이 249개, 규장각본이 225개로 장서각본이 24개 더 많다. 보유본은 장서각본을 저본으로 하면서도 규장각본을 섞어 영인한 것이며, 영인 과정의 오류로 244개 조목만 수록되어 있다. 요컨대 장서각본이 규장각본보다 앞선 초본(初本)일 가능성이 높다. 『혼돈록』의 내용을 통해 볼 때, 이 저술은 다산이 1796년(정조 20) 초계문신으로 『사기영선』을 교정한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전체적인 서술은 유배지에서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혼돈록』 권4의 내용이 『아언각비』에 많은 부분 수용된 것으로 보아, 『혼돈록』 저술은 적어도 『아언각비』가 완성된 1819년(순조 19) 이전에 마친 것임에 분명하다.
    『혼돈록』은 총4권인데 권1ㆍ2는 모두 사론(史論)이며 권3의 전반부는 사론이고 후반부는 시화(詩話)이다. 권4는 언어문자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전체 249개 조목 중에 136개가 사론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249개 조목의 제목과 내용에 대해서는【부록】으로 첨부한 <『혼돈록』 249개 조목 내용 일람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혼돈록』은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간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나, 그렇다고 해서 『혼돈록』의 자료적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첫째, 『혼돈록』은 절반 이상이 사론으로 채워져 있는데, 이를 통해 다산의 역사인식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숙종과 정조 연간의 사건과 인물에 대한 논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산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당파에 얽매이지 않고 냉정하게 역사를 평가하였다. 다산이 자기 나름대로 남인이 분열되고 정치적으로 몰락한 과정을 탐색해 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국 역사에 대한 단순한 기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교하면서 우리의 현실에 입각하여 비판적으로 역사를 검토하였다.
    둘째,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수록되지 않은 다산의 시론과 시편을 확인할 수 있다. 남인 시맥에 대한 정보나 칠언고시의 율격에 대한 논의는 다산의 시론 연구에 참고할 만하다.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수록되지 않은 희작 성향이 농후한 잡체시(雜體詩)는 다산 시세계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답수차요(踏水車謠)」와 「반지화곡(班枝花曲)」 등에 대한 논의에서는 다산의 실학자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셋째, 『혼돈록』은 다산의 여러 저작의 원천 자료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다. 『혼돈록』은 『아언각비』 저술의 밑바탕이 되었음은 물론이거니와 여타 문장을 짓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원사(原赦)」라는 글은 『혼돈록』 권1의 「왕가종수칠십(王伽縱囚七十)」이 바탕이 되어 완성되었다. 이외에도 「한전(限田)」ㆍ「현령시책(縣令試策)」ㆍ「개천맥(開阡陌)」 등은 『경세유표』에, 「본생부칭백부숙부(本生父稱伯父叔父)」ㆍ「성치(城雉)」 등은 『상례사전(喪禮四箋)』에, 「세실(世室)」은 『춘추고징(春秋考徵)』에 수용되었다.
    넷째, 다산의 저술 편찬 경위를 엿볼 수 있었다. 다산은 『혼돈록』 권1의 7조에서 자신이 지은 『맹자차록(孟子箚錄)』이라는 저술을 언급하였다. 『맹자차록』은 현재 전하지 않는데, 본 조목과 관련된 내용은 『맹자요의(孟子要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맹자차록』은 『맹자요의』에 앞서 지었고, 이를 바탕으로 『맹자요의』를 저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고가 다산학의 지평을 넓히는 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a book which is named Hondonnok written by Jeong Yak-yong. This article is a kind of miscellaneous records.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value and bibliography of this book.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is book, Jeong set out to write in 1796 when he was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l in Kyujangkak. And he completed it before 1819, during his exiled period.
    This book was composed in 4 volumes. First two volumes are debates about historic issues. And the others are comments on poems and linguistics. For the information, I attached a table at the end of this paper as a supplement.
    As this book was not included in the complete book of Yeoyoodang(與猶堂全書), no researchers took notice of it for now. But it does not mean this book has no value. I suggest the important facts of this book like following.
    First, we can grab his view of history through this book. Especiall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eople and events of the King Sukjong and Jeongjo era. He tried to evaluate historical facts based on objective point of view.
    Second, we could find out some unexcavated articles from this book. Among them, some arguments about Namin party and poems are particularly important.
    Third, this book was a raw material for other writings for him. He wrote this book as a memorandum for the future, and he used it in other books actually.
    Forth, we can reconstruct the details of his writing in the chronological sequence. In this book, he mentioned some titles of his own books, and these are important evidences about his writings.
    I look forward to lead some new researches from this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