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응하 충렬록(忠烈錄) 판본 변개 과정과 그 의미 (Philological Approach on Chungnyeollok for Kim Eung-h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9.02
31P 미리보기
김응하 충렬록(忠烈錄) 판본 변개 과정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46권 / 129 ~ 159페이지
    · 저자명 : 이송희

    초록

    김응하(金應河, 1580-1619)는 오늘날에는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심하전투에서 항전하다 장렬히 전사한 까닭에 전사 직후부터 조선 후기까지 대명의리의 상징과도같은 인물이었다. 김응하를 기념하기 위한 충렬록 간행 역시 광해조부터 정조조까지무려 네 차례나 이루어졌으며, 현재까지도 여러 판본들이 전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간행년도가 확실한 정조 22년의 중간충렬록을 제외하고 서발문을비롯 완전한 체재를 갖춘 판본들을 A 계열로, 박희현의 「김장군전」과 유몽인·이염영의후서(後敍), 그리고 김응하 만시들로만 이루어진 판본들을 B 계열로 분류하고, 이후 자체나 내용상의 차이에 따라 A’와 B’로 판본의 계열을 세분화했다. 그 결과 그간 학계에서 초간본으로 여겨지던 규장각본(규장각 古貴 923.55-G417c)은 A’ 계열에 속하며, 대신 고려대 화산문고본 등 A 계열의 판본이 이보다 앞선 판본으로 보인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초간본(신유본)에는 이이첨을 비롯 인조반정으로 숙청된 인물들의 글이 상당수 수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종 연간까지 별다른 산삭 없이 수차례 간행되었음도 확인할 수있었다. 반면 정조 22년 발간된 중간충렬록에서는 보다 방대해지고 체계적이 된 체재와 함께 북인계열에 속하는 인물들의 글을 「시문별집」으로 따로 분류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판본들간의 차이를 통해 우리는 김응하에 대한 현양사업이 초간 당시에는 대명외교의 맥락에서, 정조 때에는 ‘중화회복’에서 ‘중화계승’으로 변화해간 조선 대명의식의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김응하에게서 북인의 색채를 탈색시키고 대신 노론계의 춘추의리 담론으로 포섭하는 일련의 시도가 포착된다.

    영어초록

    Kim Eung-ha, who died in the Battle of Sarhū, was a symbolic figure of loyalty to Ming Dynasty in late Chosŏn Korea. Chungneyllok which was a memorial for Kim had published four times from from 1621-1796.
    This study reviews existing copies of Chungyellok, categorizes them in four groups, and speculates its publishing date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of each edition. As a result, Chungnyellok seems published several times based on its first edition till late 17th Century,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book contains writings and poems of “traitors” of King Injo’s Restoration (仁祖反正). Compared to the former editions, the last edition published in 1796 is much more sophisticated and completed one and removed the works of the politically problematic figures from its main text.
    By reviewing those copies, we can find out that the first edition had to published in the diplomatic situation after the Battle of Sarhū to enhance its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because two other Chosŏn generals chose to surrender to Manchurians. But the 18th Century edition shows the tendency of changing identity of Chosŏn as “little China (小中華)” after the fall of Ming Dynasty. Kim Eung-ha was also repainted as a loyal subject of Ming, rather than a guardian of Chosŏ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