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신장벽전의 제작기법 고찰 (A Study on the Methods used to make the Green-glazed Tile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3.10
32P 미리보기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신장벽전의 제작기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16권 / 7 ~ 38페이지
    · 저자명 : 김동하

    초록

    본고에서는 사천왕사에서 출토된 양지스님의 작품인 녹유신장벽전의 출토상황을 검토하였다. 3종류의 벽전은 목탑 기단부에 A-B-C형 차례대로 배치되었다.
    그리고 목탑 기단 한 면에 6개체가 있고, 하나의 목탑에 24개체가 사용되었다. 한편 본 논고에서는 3종류의 벽전에 대한 복원도를 제시하였다. 특히 새로운 복원도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B형의 화살 촉 부분과 C형 신장상 투구 상부장식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다음은 세 유형의 녹유벽전 제작기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먼저 세 유형 벽전 모두 2중 구조(내틀과 외틀)로 된 분할틀에 점토를 충전한 것으로 추정한다. 아울러점토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으로 점토를 눌러 압력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출토된 벽전의 단면에서 이러한 작업 흔적(지두흔: 손가락 흔적)들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발굴조사에서 범(틀)을 찾지 못하여, 아쉽게도 범의 재료는 확답하기 힘들다.
    또한 출토된 녹유벽전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A형과 BㆍC형 벽전이 구조적으로나, 제작기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먼저 A형 벽전은 감실부와 문양부가 급격한 높이 차이 때문에, 모서리 부분에 흙으로 보충하여 곡면을부드럽게 다듬었다. 하지만 BㆍC형은 신장상(神將像)의 천의자락 때문에, 감실이 A형보다 넓어지고, 감실부와 문양부의 높이 차이도 작으며, 감실부와 문양부의 연결부분이 완만한 곡면으로 처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ㆍC형은 완만한 곡면이었기 때문에 보토(흙을 보충하는 거) 없이도 표면을 다듬을 수 있었다. 하지만 왜 A형 신장상에는 천의자락이 없고, BㆍC형 신장상에만 천의자락을표현하여 감실의 구조와 제작기법을 달리했는지는 앞으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의 제작기법과 신라와전의 제작기법을 비교ㆍ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녹유신장벽전의 제작기법은 신라 瓦塼 에서 이미 활용되던 제작술에 조금 더 발전한 단계이지, 전혀 새로운 기술의 도입은 아닌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적어도 제작기법상으로 살펴보았을 때,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을 ‘西域的’ 혹은 ‘異國的’이라고 부르는 것은 맞지 않다. 아울러벽전의 제작자로 알려진 양지스님 역시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기 보다는 이미신라에 보급된 瓦塼 제작기술을 기반으로 발전시킨 匠人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Green-glazed Tile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known to have been made by a Silla's great monk artist named Yangji and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in Gyeongju. The tiles consisted of three types, A, B and C, and were installed in order around the base of a wooden pagoda. In other words, the square base of the wooden pagoda had 6 tiles on one side and, hence, 24 tiles in total. The study presents illustrations showing the restored wall tiles divided in three types. The illustrations of the newly restored tiles provide new information of some details of the guardians carved on the tiles such as an arrowhead on the tiles of Type B and a helmet ornament on the tiles of Type C.
    The study also deals with the techniques used to make green-glazed wall tiles in three types. All the tiles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via filling clay in the molds of double structure, inner and outer molds. Some tiles contain finger marks mad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howing that the clay was pressed into the mold. Archaeologists discovered marks of finger tips pressed on the tiles, but found no mold that can tell the material of which it was made.
    Archaeologists also found after the excavation of the green-glazed tiles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tiles of the three types. Makers of the Type A tiles, for instance, added more clay to the corners and made gently curved surfaces due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niche and the decorative part. The tiles of the rest two types, however, feature, in addition to the gentle curves of the area connecting the niche and the decorative part, larger niches and smaller differences in height between the two largely due to the trails of the veil robe worn by the guardian deities. Naturally, the gentle curves of the Type B and C tiles helped make smoother surfaces without adding more clay. The question remains, however, why unlike the Type B and C tiles the Type A tiles have no robe trails, causing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niches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The last part of the study is focused on comparing the green-glazed wall tiles of the Sacheonwangsa Temple and the other wall tiles excavated in the Gyeongju area so far. The wall tiles discovered at the Seokjangsa Temple site have often be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to find out if the two were made by using the same molds. Researchers, however, have found no two Seokjangsa tiles were made from the same mold. They are puzzled by a lack of evidence to show that the use of molds is to make multiple tiles of the same type.
    Meanwhile, some wall tiles unearthed at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feature the same form, clearly revealing that they were made with the same molds. These tiles seem to have been produced before the green-glazed tiles from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on the wall tiles discovered from the sites of three different temples, Hwangnyongsa, Seokjangsa and Sacheonwangsa, to have a clearer picture on the development of the decorative wall tiles of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