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지막 국왕 순종(純宗)의 장례일지-『순종국장록』을 중심으로- (The funeral log of King Sunjong, the last king - focused on 『Soonjongkookjangrok(純宗國葬錄)』-)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02
31P 미리보기
마지막 국왕 순종(純宗)의 장례일지-『순종국장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56권 / 187 ~ 217페이지
    · 저자명 : 윤종선

    초록

    이 연구는 『순종국장록(純宗國葬錄)』에 나타난 조선의 마지막 국왕인 순종의 장례과정을 미시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순종국장록』(경성신문사내 조선신문사, 1926)은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의 장례과정을 사진과 글로 엮은 자료집으로, 순종의 생애는 물론 승하부터 장례까지의 전 과정을 자세히 기록해놓았다. 특히 사진 자료는 순종의 국장 모습을 통해 조선 시대 국왕의 국장과정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 자료적 가치를 더해주고 있다.
    1926년 4월 25일 사망한 순종의 장례식은 6월 10일 국장으로 치러졌다. 일반적으로 조선 시대 국왕의 장례는 5개월이 걸리지만, 일제강점기에 치러진 순종의 장례는 그보다는 짧았다. 또한 순종의 국장은 일제의 개입으로 변형되어 전통적인 조선 왕실의 국장과 일본의 근대식 국장이 혼합된 형태로 치러졌다. 이는 당시에 조선 왕실이 일제의 철저한 관리, 감독하에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일제는 고종 국장 때 일어난 3.1운동 같은 격렬한 저항을 막고자 순종의 장례를 조선의 관습에 따르도록 허가했다. 특히 전통적인 조선 왕실의 상장례는 거의 그대로 따르게 했다. 게다가 일제는 일본의 장례의식을 추가한 근대식 국장까지 치르게 했다. 그에 따라 순종의 국장은 이원화된 형태로 진행될 수밖에 없었고, 특히 일제는 근대 장례식이라 할 수 있는 봉결식(영결식)을 통해 조선의 식민화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려는 의도를 보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microscopic study of the funeral process of King Sunjong, the last king of Joseon, shown in the book of 『Soonjongkookjangrok(純宗國葬錄)』 Sunjonggukjangrok (Chosun Newspaper, 1926) is a collection of materials that record the funeral process of King Sunjong, the last king of Joseon, in photographs and writings. The Book of Sunjonggukjangrok is a detailed photograph and writing record of King Sunjong's life as well as the entire process from death to funeral. In particular, the photographic data adds value to the data by confirming the funeral process of the king of Joseon through the funeral of King Sunjong.
    King Sunjong died on April 25, 1926, and the funeral was held on June 10 as a national funeral. In general, the funeral of the k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ook five months, but the funeral of King Sunjong was shorter than that. King Sunjong's state funeral held in Japanese colonial era was held in a mixture of Joseon and Japanese funerals due to the Japanese intervention. This is because the Joseon royal family was under the thorough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Japanese imperialism at that time.
    Of course, in order to prevent fierce resistance such as the March 1st Movement during King Gojong's funeral, Japan allowed King Sunjong’ funeral to follow Joseon customs. In particular, Japanese imperialism made Joseon's traditional funeral to be held in almost the same way. Accordingly, King Sunjong's funeral was forced to proceed in a dualized form, and Japan, in particular, showed its intention to explicitly reveal the colonization of Joseon through a funeral, which can be called a modern fune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