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계연록』과 박세당의 불교인식 (Park Sedang's Seogyeyeonrok(西溪燕錄) and His Recognition of Buddhis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9.06
32P 미리보기
『서계연록』과 박세당의 불교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14호 / 489 ~ 520페이지
    · 저자명 : 김종수

    초록

    박세당은 1668년에 동지사 서장관 자격으로 사행에 나섰다가, 왕환 길에서 체험하고 관찰한 내용들을 『서계연록』과 『사행록』이라는 두 종류의 저술로 마무리해 두었다. 특히 『서계연록』에는 불교와 관련된 소재들이 다수 기재되어 있다. 자연 청초의 중국 불교의 현황과 더불어, 40세 이전까지 견지했던 박세당의 불교인식의 일단을 살피기에 좋은 자료집이다.
    박세당이 작성한 연록에 기록된 불교 관련 자료들을 분석해 본 결과, 대체로 불교사원 묘사가 주류를 형성한 가운데, 계율과 좌선 등의 수행법에 관한 관찰과 분석 또한 일부 언급되고 있었다. 청초의 사찰은 청조가 주관하는 준 어용 사원이 많았으나, 몇몇 사찰은 전래의 수행 가풍을 계승해 오고 있었다. 박세당은 이들 사원을 통해서 조청 양국의 수행 가풍을 비교하면서 관찰하기도 했다. 또한 박세당은 용천사의 도고한 한 고승에 대해서 큰 관심을 표명하기도 했다.
    특히 박세당이 기록한 와불사 관음상의 와선 형용에 대한 행간 읽기를 통해서, 박세당이 불교에 보여준 친연성과는 달리, 근본 유자로서의 자신의 사상적 정체성에는 추호의 흔들림이 없었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점 앞서 진행된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간과한 부분이다. 다시 말하여 박세당은 진리 인식의 한 축이라는 차원에서 불교를 부분적으로 수용했지만, 강한 원시유학 지향성이라는 자신의 사상적 입각점은 확고부동했으며, 이 점 귀국 후에 연차적으로 개척한 탈주자학적 경학론의 출발점으로 작용했다.

    영어초록

    It is mainly being discussed to correlate Park Sedang's world of thought with his recognition of Buddhism. The object of this discussion is A Collection of Seogye's Works. called Seogyejip(西溪集).
    In this study, material related to Buddhism in his Seogyeyeonrok(西溪燕錄) will be included in the discussion on his Buddhism. Seogyeyeonrok is the record of his travel in Peking in 1668.
    Park made careful observation on Qing's Buddhist temples and priests in his travels. He was greatly concerned about the structures and outward appearances of Qing's Buddhist temples, disciplines, and commandments.
    Moreover, he expressed his perception of time based on Sunya- Vipayan(空觀). It seemed that his perception was continued to the level of epistemology. However, the range of his perception was confined within the theory of truth, He never deviated from his ideas based on a Confucian scholar.
    His perception is also confirmed by the fact that he expressed his criticism of Gongburon(工夫論 : the theory of cultivating morality) for Chu Master School(朱子學) as a modification of meditation in Zen Buddhism(禪佛敎). He showed much interest in Buddhist priests of high virtue. But these understandings and concerns of Buddhism don't mean that he deviated from Confucian grou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