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계수록』의 전승과 『잡동산이』 (The Transmission of 『Bangyesurok(磻溪隨錄)』 and 『Japdongsani(雜同散異)』)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06
37P 미리보기
『반계수록』의 전승과 『잡동산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35호 / 121 ~ 157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반계수록』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夷狄이 中華를 침몰시키는 충격을 주었던 명청 교체기라는 문명의 전환기에 古道의 실현을 통해 국가 재건의 가능성을모색하고자 했던 반계 유형원(1622∼1673)의 저작이다이 글에서는 유형원의 『반계수록』이 어떠한 경로로 보고되고 전파되고 평가받으며, 출간에 이르게 되는지를 규명한다. 아울러 『반계수록』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필사되어 순암 안정복의 『잡동산이』에 수록된 『반계수록』 (이하 순암본』반계수록』)을 비교 고찰하여 그 원본의 체제를 추적했다. 이것은 『반계수록』이라는 당대의 혁신적인 구상이 당대와 후대의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파되고 수용되는지를 검토하는 지성사의 검토이자 동시에 『반계수록』이라는 기념비적 저작이 하나의 출간물로 완성되는 문헌학적 탐색이다.
    반계 유형원이 거의 20년의 공력을 들여 1670에 완성한 『수록』은 100여년이지난 1770년에 발간되었다. 그 과정에서 반계의 후학들과 후손들은 당대의 학자들에게 반계의 저작을 보이며 그 성과를 드러내고자 했고, 홍계희를 비롯한 재조의 의식있는 학자들도 그 절목의 상세함에 공감하면서 이 책의 발간에 호응했다.
    耕者有田의 상식적인 원칙이 지켜지고 최소한의 삶의 여건을 보장하자는 반계의 개혁안이 기득권의 저항에 의해 구체적인 실현을 보지 못한 것은 온전히과거의 일로만 돌릴 수 없다. 더 현실적인 개혁안에 눈을 돌리라고 질타한 정조의 사례에서 보듯 거대한 토지를 가지고 세습되는 문벌을 확보한 채 관직을 독점하던 기득권의 근본적인 개혁에 대한 무관심은 정책의 구현이 기획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단한 투쟁을 통해 획득되는 산물임을 다시 한 번 각성케 하는것이다.

    영어초록

    『Bangyesurok』 is a book written by Bangye Yu Hyeong-won (1622∼1673) who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ng the state by realizing godo (古道)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civilization called the Ming-Qing Transition that actually shocked the intellects in Chosun with the fact that ijeok (夷狄) collapsed the Middle Kingdom (中華).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ough what routes Yu Hyeong-won’s 『Bangyesurok』 was reported, transmitted, evaluated, and published. In addition, by considering 『Bangyesurok』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nam-bon 『Bangyesurok』) contained in Sunam An Jeong-bok’s 『Japdongsani』 as it was transcribed while 『Bangyesurok』 was being transmitted comparatively, this author traced the system of the original.
    This is the examination of mentality to understand how 『Bangyesurok』, the innovative conception of the time, was transmitted and accepted by the contemporary and future intellects and also philological exploration over the process of 『Bangyesurok』, a monumental work, becoming published as one of the publications. 『Surok』 completed in 1670 with Bangye Yu Hyeong-won’s almost 20 years of endeavoring came to be published in 1770 that was about 100 years later from its completion. In the process, Bangye’s disciples and descendants tried to reveal the fruition showing Bangye’s work to the scholars of the time. In fact, high-minded scholars in office including Hong Gye-hui reacted favorably to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empathizing with its detailed sections.
    The fact that Bangye’s plan of reformation to preserve the commonsensical principles of Gyeongjayujeon (耕者有田) and guarantee the least conditions of life failed to be realized concretely due to the resistance of those equipped with power was not solely attributed to Gyeongsechaek in the past. As you can see from Jeongjo’s case to rebuke to avert their eyes to more realistic reformation, the indifference of those equipped with power grasping public posts while securing the lineage possessing and handing down their vast land about ultimate reformation allows us again to realize that the actualization of policy is not just about planning but the product of acquisition grounded on restless strugg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