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천맥(開阡陌)'에 대한 해석사를 통해 본 『반계수록(磻溪隨錄)』 「전제고설 (田制攷說)」의 경사(經史) 독법 (A Study on 『Bangyesurok(磻溪隨錄)』 「Jeonjegoseol(田制攷說)」’s Method of Reading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s Compared to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s about ‘Gaecheonmaek(開阡陌)’)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12
48P 미리보기
‘개천맥(開阡陌)'에 대한 해석사를 통해 본 『반계수록(磻溪隨錄)』 「전제고설 (田制攷說)」의 경사(經史) 독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72호 / 41 ~ 88페이지
    · 저자명 : 윤석호

    초록

    본고는 사적 소유의 현실에서 토지제도의 고법이 독해되는 다양한 양상을 ‘개천맥(開阡陌)’에 대한 선유의 해석사와 반계 유형원의 경・사 독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로써 확인된 몇 가지의 의미 있는 지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개천맥’ 해석사에서의 주요한 논점은 ① 천맥과 정전의 제도적 관계, ② ‘개천맥’으로 인한 영향과 그에 대한 평가, ③ ‘개천맥’ 이전으로의 회복 가능성과 그 방안이었다.
    ①과 관련해서는 양자를 별개의 구획으로 보기도, 천맥을 정전제 하에서의 구획으로 보기도 했다. 그리고 전자의 경우 ‘개(開)’를 ‘찢어서 열다’로, 후자의 경우 이를 ‘새롭게 만들다’로 해석했다. ②와 관련해서는 ‘개천맥’의 현실적 효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그러한 면모에도 불구하고 사적 소유를 용인하여 유학의 이상적 토지제도로부터의 단절을 초래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편 주희는 <개천맥변>에서 두 측면을 각각 조명하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③과 관련해서는 고법의 이념과 원리[분전과 제록], 제도 가운데 보편성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경세의 목적과 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선택적 분기가 신유학의 여러 유자들에게서 확인되는 바, 이로써 성리학 내부에는 경세론의 다양한 흐름들이 저류하게 되었다.
    조선의 경세학에서는 16세기에 접어들어 고법의 보편성을 논점으로 한 논의의 지형이 그려지고 있었는데, 본고가 확인한 인물은 황준량과 이이이다. 양자는 고법의 보편성을 각각 그 원리와 이념으로 달리 이해했다. 성리학의 저변에서 본다면 황준량은 정호와 장재의, 이이는 주희의 경세론과 친연하다고 하겠다.
    유형원은 이러한 경세론의 지형을 토대로 하면서도 고법의 원리에 강한 보편성을 부여하는 견해를 제출했다. 특히 『반계수록』 「전제고설」에서는 그 근거를 경・사의 재해석과 이에 대한 학술사의 정리를 통해 제시했다. 하나는 농지의 균등분배가 삼대의 농지 전역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고[경학], 다른 하나는 사적 소유로의 변화로 인해 나타난 폐단을 고발하는 것이다[사학]. 더구나 후자에 있어 그의 서술 전략을 보면, ‘개천맥’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던 선유의 견해를 인용했고, 주희의 <개천맥변> 가운데서도 ‘개천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발췌하여 재맥락화했다. 요컨대 그가 고법의 원리에 보편성을 부여했고, 또한 ‘개천맥’을 이상으로부터의 단절로 평가했던 바, 이러한 그의 입론에 공명하는 견해들을 선택하여 경사(經史) 해석사상의 근거로 삼은 것이다. 또한 이로써 본다면 조선의 경세학사 나아가 사상사 연구에 있어서는 성리학 내부의 다채로운 지적 흐름에 대한 분석, 그리고 주자설과의 면밀한 질적 비교 등이 향후 더욱 요청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various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scholars about Gaecheonmaek(開阡陌) and compared them with the interpretation of 『Bangyesurok(磻溪隨錄)』 「Jeonjegoseol(田制攷說)」 about Gaecheonmaek. The main contents confirmed by this are as follows.
    There were three main issues in the interpretation of Gaecheonmaek, the first was the in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Cheonmaek(阡陌) and Jeongjeon(井田), the second was the impact and evaluation of Gaecheonmaek, and the third was the possibility of recovery before Gaecheonmaek.
    Regarding the first, '開' was interpreted as 'tear open' by considering Cheonmaek and Jeongjoen as different systems, or '開' was interpreted as 'newly establish' by considering Cheonmaek as a farmland compartment under Jeongjeon.
    Regarding the second,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Gaecheonmaek" was positively evaluated, or despite such aspects, it was also evaluated as a disconnection from the ideal land system of Confucianism. Meanwhile, Zhu Hee(朱熹) also made an evaluation in <An Critical Essay on Gaecheonmaek(開阡陌辨)> that sheds light on the two sides, respectively.
    Regarding the third, the purpose and method of Statecraf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re the universality of the Old Law(古法) was placed among ideology, principle, and system. In particular, this selective branch is confirmed in various Confucian scholars, which shows that various flows of Statecraft theory were formed inside Neo-Confucianism.
    In the 16th century, Joseon's Statecraft theories was creating discussions on the universality of Old Law. The figures confirmed by this paper were Hwang Jun-ryang(黃俊良) and Lee Yi(李珥). Each assigned the universality of Old Law differently to principle and ideology. In relation to the base of Neo-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t Hwang Jun-ryang is similar to Jeong Ho(程顥) and Jang Jae(張載)’s theory of Statecraft, and Lee Yi is similar to Zhu Hee's.
    Based on these theories, Yu Hyung-won(柳馨遠) submitted an opinion that gave a strong universality to the principle of Old Law. In particular, he presented the basis in 『Bangyesurok(磻溪隨錄)』 「Jeonjegoseol(田制攷說)」 by reinterpreting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s. Moreover, he cited opinions that gave negative evaluations on Gaecheonmaek and extracted negative evaluations on Gaecheonmaek among Zhu Hee's <An Critical Essay on Gaecheonmaek>. In short, he selected opinions that conform to his theory of Statecraft and used them as the basis for interpreting Gaecheonmaek(開阡陌).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analysis of various intellectual flows within Neo-Confucianism and close qualitative comparisons with the theory of Zhu Hee are further requested in the study of Joseon's History about Statecraft and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