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사대부 문인의 시문수창집 『僧伽酬唱錄』 (A study on SeungGaSuChangRok(『僧伽酬唱錄』), the Collected Works of Chosun(朝鮮) Dynasty gentries in 16th Century)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1.12
50P 미리보기
16세기 사대부 문인의 시문수창집 『僧伽酬唱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5권 / 73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초록

    「僧伽酬唱錄」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된 55장의 필사본(<奎 15468>)으로서, 1575년(선조 8)에 삼각산 僧伽寺에서 許筬․洪履祥․禹伏龍․李順慶 등의 젊은 문인들이 모여 詩會를 열고 수창했던 300여수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참석자들은 대부분 花潭學의 자장에 속한 연소한 문인들로서, 전해에 性理書의 요약본이라 할 수 있는 「性理大全」을 모여 읽었고, 다시 이 해에 모여서 새롭게 부상하는 「心經」을 읽었다.
    또한 그들은 아름다운 삼각산의 봄을 만끽하면서 벗들과 함께 느끼는 흥취를 시편으로 남기고자 하였다. 우선 봄의 생동감을 감지하거나, 다가오는 봄의 환희를 상상하면서 전대 시편을 차용하여 春意를 표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들은 探勝尋芳의 유람을 통해서 詩興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명이 높은 賤出 시인 劉希慶의 방문을 받아 함께 시문을 수창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모임의 일원이 잠시 떠났다가 돌아오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그리움의 회포를 피력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수창집은 개인의 개성적 문학세계를 보여주기보다는 집단적 문학 향유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수창집의 성격으로 인해, 여기에 담긴 시편들에는 문학성을 논할 때 흔히 언급되는 ‘개성, 독창성’ 등이 일견 결여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군다나 모임의 주축들이 주로 20대 후반의 젊은 문사들이었기에, 훗날 우복룡이 회고하였듯이 그들의 시편은 가벼운 낭만성을 띤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는 16세기 젊은 문사들의 문학 향유공간과 현장의 분위기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승가수창록」은 구성원간의 문학적 교감을 드러내는 작품집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focused to introduce SeungGaSuChangRok(「僧伽酬唱錄」), the Collected Works of Chosun(朝鮮) Dynasty gentries in 16th Century, and to illuminate newly theses poetical works.
    This manuscript was composed in SeungGaSa(僧伽寺) which was a temple located SamGak Mountain(三角山) by HuSung(許筬), HongYeeSang(洪履祥), WooBokRyong(禹伏龍), LeeSoonKyung(李順慶), and other gentries. This collected work was created in 1575, their late 20s. They were followers of the Hwadam school(花潭學), and read through the book of Neo-Confucianism.
    They felt sentiments of early spring, went sightseeing together throughout SamGak Mountain. And they wanted to share poetic inspirations, and to leave poems of pleasures excited by beautiful natures. Therefore they welcomed YooHeeKyung(劉希慶) Who was a poet born of a mean concubine. Meanwhile when one of them leaved, they recited poems of parting sadness and missing frien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