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응지(沈應之)의 연행록 『운연과안록(雲煙過眼錄)』 연구 (Research on 『Unyeonguaanrok(雲煙過眼錄)』 Yeonhaengrok(燕行錄) Written by Sim Eungji(沈應之))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05
34P 미리보기
심응지(沈應之)의 연행록 『운연과안록(雲煙過眼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37호 / 311 ~ 34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운연과안록(雲煙過眼錄)』은 필사본 1책의 연행록으로 처음 발굴된 자료다. 저자 심응지(沈應之, 1792~1860)는 자가 명학(鳴鶴), 호가 묵소(默所)․동대노초(東臺老樵)다. 본문 첫 면 하단에 “默所翁 著”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박영원(朴永元, 1791~1854)의 연행시집 『연사록(燕槎錄)』을 통해 묵소(默所)가 심응지의 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심응지는 1846년 사행에 동종(同宗)의 서장관 심희순(沈熙淳)의 반당(伴倘)으로 연행에 참여하였다. 심응지는 경기도 김포(金浦)의 약산(藥山)에 살았던 한미한 문사였다. 문집 등이 있었으나 본 연행록 외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교유자로는 같은 청송심씨의 심능숙(沈能淑), 심희순, 심이택(沈履澤) 등과 박선성(朴善性)과의 친분이 확인된다.
    『운연과안록』은 여정 순서대로 직접 견문한 사실과 그에 대한 개인적인 단상을 총 156칙으로 기록한 잡록 형식의 연행록이다. 일기체도 아니고, 소항목도 없이 짤막하게 칙(則)만 나누어 기술했다는 형식상의 독특성이 있다. 내용상으로 가장 주목되는 것은 수레, 벽돌, 농기구 등 이용후생 관련 기록들과 성곽, 가옥, 의관 제도 등을 비롯한 청조의 각종 문화, 양상문(楊尙文)․상지(尙志) 형제, 이균(李鈞), 심형혜(沈亨惠), 장목(張穆), 풍지기(馮志沂), 조진조(趙振祚) 등과의 교유, 영국과 아편에 관한 정보, 민간의 동향에 대한 보고 등이다. 요동(遼東) 벌의 ‘계문연수(薊門煙樹)’를 묘사한 부분의 문학적 필치, 회화나무[槐]에 대한 면밀한 고증 역시 주목할 만하다. 『중봉집(重峰集)』,『백사집(白沙集)』,『동사록(東槎錄)』 등 다종의 선행 기록을 참조하기도 하였고 특히 『열하일기』에 대해서는 숙독(熟讀)의 흔적이 나타난다. 벗의 평가대로 ‘간략(簡)’하면서 ‘신빙(信)’이 있는 연행(燕行)의 ‘역사 기록(史牒)’이라 평가할 만하다. 19세기의 수준 있는 연행록으로 자리매김 할 가치가 충분하다.

    영어초록

    『Unyeonguaanrok』 is the first discovered manuscript Yeonhaengrok which consists of one volume. The auther Sim Eungji’s ja(字) is Myeonghag(鳴鶴) and ho(號) is Mugso(默所)․Dongdaelocho(東臺老樵). There described “Old Mugso wrote this.” at the bottom of the first page of the body. Through the 『Yeonsarok(燕槎錄)』 of Park Yeongwon(朴永元)’s Chi’ing Travel poetry, it could be confirmed that Mugso was Sim Eungji’s ho. Sim went to Chi’ing in 1846 with following Sim Huisun(沈熙淳), the secretary of the diplomatic mission. He was an insignificant literary writer who lived in Yagsan(藥山), Gimpo(金浦), Gyeonggi Province. It is said that he had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but it is now in lost. 『Unyeonguaanrok』 is his only work. His friends were Sim Neungsug(沈能淑), Sim Huisun, Sim Yitaeg(沈履澤), and Park Seongseong(朴善性).
    『Unyeonguaanrok』 is miscellany records of direct information and personal appearances in the order of travel, with a total of 156 items. It is not a diary, but rather a form of short sentences, which is described briefly without any small title. The most notable items are records related to the welfare of the Chi’ing dynasty such as carts, bricks, farming tools, and various cultures of Chi’ing dynasty such as castles, houses, and apparel system, and the friendship with Yang Shangwen(楊尙文), Yang Shangzhi(楊尙志), Li Jun(李鈞), Shen Henghui(沈亨惠), Zhang Mu(張穆), Fung Zhiyi(馮志沂), Zhao ZhenJha(趙振祚), and the information on the UK and opium etc. The literary expression describing the Liaodong desert(遼東廣野) and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Hoihua tree[槐] are also drawing attention. This book refer to various books published before, such as 『Jungbongjib(重峰集)』, 『Baegsajib(白沙集)』, 『Dongsarok(東槎錄)』 and especially on 『Yeolhayilgi(熱河日記)』. It deserved to be considered a brief and reliable historical portfolio to Chi’ing. It was enough to be judged a fine yeonhaengrok of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