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제도는 작업장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소수노조의 집합적 무임승차를 중심으로 (How Does the Multiple Union System Change the Workplace?:Focusing on the Minority Union’s Collective Free Rid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12
31P 미리보기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제도는 작업장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소수노조의 집합적 무임승차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관계연구 / 28권 / 4호 / 49 ~ 79페이지
    · 저자명 : 조혁진

    초록

    이 논문은 2011년 7월 1일 시행된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제도가 작업장을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해서 다룬다. 하나의 작업장에서 동일한 조직대상을 두고 벌이는 복수의 노동조합 병존과 경쟁은 이전까지 한국 사회의 노동자와 사용자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전혀 새로운 형태의 ‘도전’이었다. 일반적으로 노동자의 권리 보호에 중요한 2가지 제도적 기반은 ‘노동조합’과 ‘노동법’으로 여겨진다. 이 점에서 2011년 7월 시행된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제도는 노동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하나의 기반인 노동법을 통해 노동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또 하나의 기반인 노동조합의 조직형태의 변경이 가능해지는 계기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노조 설립 및 노조 가입의 자유를 보장한 사업장단위 복수제도는 작업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 제도 시행 이후 복수노조가 설립된대학 시설관리서비스산업의 간접고용 비정규직 작업장에서 참여관찰 연구를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섭권을 확보하지 못한 신생 노조는 조직의 생존과유지를 위해 사측과 상급단체 등의 뒷배를 갈아타면서 기존 노조의 투쟁 성과에 집합적 무임승차를 전개하는 전략을 추구하였다. 신생 소수노조는 이를통해 조합원의 복지를 강조하는 비정형적인 비정규직 노조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작업장에서는 노・노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이 논문은노동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기반한 노조 설립 및 가입의 자유가 보장됨으로써 노동의 권리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복수노조 제도가 실제 작업장에서는 노동의 분열과 갈등의 심화를 가져오는 일종의 역설을 보여주고 있음을 지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how the multiple union system at workplace level implemented in July 2011 changed the workplace. The competition of multiple unions in one workplace was a whole new thing that workers and managements in Korean society have not experienced. In general, two important things to protect workers’ rights are unions and labor laws. In this respect, the multiple union system at workplace level was a change in the law on unions to protect workers' rights. What changes did the institutional amendment bring to the workplace? This study seeks the answers to the question by analyzing the actual workings of the multiple union system at the workplace level focusing on the workers’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field research at university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 workplace, this study observed the following actual changes. Firstly, the second union, without the right to bargain, relied on sponsors for the survival and maintenance of the organization and pursued a strategy of free riding on the first union’s performance. Secondly, minority unions have shown atypical non-standard workers’ unions that emphasize the welfare of their members. Thirdly,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unions in one workplace deteriorated.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irony of multiple union system at workplace level. The system, which was supposed to contribute to the securing of labor rights by guarantee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establishment of labor unions based on the free will of the workers, actually brought about the fragmentation of labor and deepening of confli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산업관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