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가한 아버지와 남겨진 가족의 서사-노(能) <가루카야>, <다메요>, <흙수레>- (Father who Became a Monk and the Family left Behind : Noh , ,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11
23P 미리보기
출가한 아버지와 남겨진 가족의 서사-노(能) &lt;가루카야&gt;, &lt;다메요&gt;, &lt;흙수레&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87호 / 231 ~ 253페이지
    · 저자명 : 김난주

    초록

    노(能) <가루카야(苅萱)>, <다메요(為世)>, <흙수레(土車)>는 아버지의 출가ㆍ둔세를 둘러싼 가족애와 구도(求道) 사이의 갈등을 다룬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버지의 출가 후 남겨진 아내와 자식들의 이야기, 아버지의 선택과 가족들의 운명을 통해 노가 종교, 가족, 아버지의 의미를 어떻게 조형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이들 곡과 내용상, 계통상 연관 관계가 있다고 판명된 중세 문예 텍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노가 종교와 가족의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에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함께 보고자 하였다.
    가장의 출가를 다룬 이들 작품에서 모든 여성 배우자들은 죽는다. 노 <가루카야>, <흙수레>, <다메요> 역시 중세 둔세담의 이러한 관습을 답습하고 있다. 하지만 노 <가루카야>와 <다메요>의 여성들은 죽음을 통해 끊어진 부자의 인연을 다시 잇고 스스로도 구원받는다. 중세 문예의 둔세담이 여성, 아내, 어머니를 속절없이 희생 제물로 삼은 것에 비하면 노는 여성들의 희생을 가족의 복원과 종교적 성숙을 위한 동력으로 조형해 내고 있는 것이다. 한편, 노 <가루카야>, <다메요>, <흙수레>의 아버지들은 가족과 구도 사이에서 치열하게 갈등하지만 결국 아버지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부모 자식의 인연을 다시 잇는 길을 선택한다. 이는 노 이외의 모든 작품에서 부자 결합을 이루지 못하는 점, 특히 한 남성이 구도의 길을 관철하는 과정에 자식의 죽음이라는 비극적 장치를 넣은 <다메요노소시(為世の草子)>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출가한 아버지와 가족을 둘러싼 비극, 종교적 신념과 가족애 사이의 갈등이라는 공통의 이야기를 다루면서도 노의 마지막 선택은 ‘종교’보다는 ‘가족’에 기울었다.

    영어초록

    Noh <Karukaya(苅萱)>, <Tameyo(為世)>, and <Tsuchiguruma(土車)> are works tha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family love and religious belief over the father’s seclusion.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Noh expressed the meaning of religion, family, and father by looking at the stories of the wife and children left behind after the father’s seclusion, as well as the stories of the father’s choices and the fate of his family. In addition,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pective of Noh looking at religious and family issues, by comparing these Noh texts with medieval literary texts that were similar in content. In these medieval literary texts, which tell the story of a father who leaves the house and becomes a monk, all female spouses die. Noh <Karukaya(苅萱)>, <Tameyo(為世)>, and <Tsuchiguruma(土車)> also follow this custom. However, with their death, the Noh’s women restore the broken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children. And they themselves can be helped.
    Compared to the reclusive stories of medieval literatures that used women, wives, and mothers only as sacrifices, Noh depicts women’s sacrifices as a motive power for family restoration and religious maturity. On the other hand, the fathers who appear in Noh <Karukaya(苅萱)>, <Tameyo(為世)>, and <Tsuchiguruma(土車)> are fiercely in conflict between the family love and seeking for Buddhism truth, but eventually choose to restore their identity as fathers and reconn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other works except for Noh,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is not connected again. In particular, Noh contrasts obviously with <Tameyonososhi> that puts a tragic scene where a son dies while a father seeks the truth of Buddhism. After all, dealing with the same theme of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 and family love over the priesthood father, but the Noh’s final choice was family rather than reli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후